'270%' 다시 치솟는 김포골드라인 혼잡률…예견된 대란[신도시 출퇴근 잔혹사]

김포한강신도시, 대책 100% 완료에도 몸살…거리두기 종료되자 혼잡↑

입주 후 수년째 '광역교통 공백'…"신도시 교통사업, 예타 면제 등 검토해야"

 

올해 1월7일,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광역교통대책 공약 발표를 앞두고 김포골드라인에 몸을 실었다. 자리를 옮기려는듯 주위를 둘러보던 것도 잠시, 콩나물시루처럼 빽빽한 열차 안에서 손도 움직이지 못한 채 '차렷' 자세로 서있어야 했다. 이 상황이 낯선듯 허공과 발끝을 번갈아 바라보던 그의 주변에는 '지옥철'이 일상이 된 태연한 신도시 주민들이 있었다. 

개통과 동시에 '출퇴근 지옥철'의 대명사가 된 김포골드라인의 악몽이 3년째 계속되고 있다. 10일 김포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김포골드라인의 출근시간대 평균혼잡률은 224%, 최대혼잡률은 270%에 달했다. 지난 2020년 10월 말 평균 231%, 최대 285%였던 혼잡률보다 소폭 낮은 수치지만,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와 함께 다시 무섭게 치솟는 모습이다.  

2019년 9월 말 김포한강신도시와 김포공항을 연결하는 2량짜리 경전철로 개통된 김포골드라인 혼잡 문제는 분노한 시민이 시작한 '너도 함 타봐라' 챌린지로 이어졌다. 첫 주자였던 정하영 당시 김포시장은 체험 직후 인터뷰에서 "교통이 아니라 고통 그 자체"라는 소감을 전했다. 이후에도 여러 정치인이 챌린지에 나섰지만 혼잡도는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7일 오전 김포골드라인을 타고 서울 여의도 당사로 향하며 출근길 '지옥철' 체험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 선대본 제공) 2022.1.7/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교통이 아닌 고통'을 겪는 신도시는 김포한강신도시 뿐만이 아니다. 경기 수원과 안양·과천 등으로 항하는 광역버스 정류장이 있는 서울 사당·강남역에는 평일 저녁마다 귀가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줄이 100m 가까이 생겨난다. 올 들어 수원·용인 등 일부 지역 버스회사가 입석을 자체 금지하자 '입석 대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일례로 고양에서 공덕을 향하는 M7731 버스는 출퇴근시간대 평균 혼잡도가 102%에 달한다. 용인에서 광화문을 향하는 5500-2 버스는의 평균 124%로, 출근시간대 154%까지 치솟는다. 

이러한 신도시 교통난은 태생적으로 예견된 문제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1~3기 신도시 모두 중장기적 광역도시계획 차원이 아닌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으로 추진됐다. 특히 '자족도시'를 표방했던 2기 신도시는 서울 도심에서 20~40㎞ 떨어진 수도권 외곽에 세워졌는데, 위례나 판교 등을 제외하면 1기 신도시보다 10㎞가량 더 먼 곳에 지어진 셈이다. 심지어 고덕신도시는 서울 도심에서 60㎞가량 떨어져 있다.

정작 광역교통대책은 '선입주 후개통' 원칙하에 이뤄지면서, 주민들은 입주 완료 이후 수년 간 교통 공백에 시달리게 됐다. 계획된 사업마저 예비타당성조사 문턱에 걸리면서 지연되거나 축소되기 일쑤였다. 김포골드라인 역시 수 차례 축소된 끝에 김포한강신도시 입주 완료 8년 만에 개통됐다.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광역교통개선대책비 집행 속도도 문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대광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2기 신도시 주요 지구별 광역교통개선대책비 집행률은 △수원호매실 74% △양주옥정·회천 63% △화성동탄2 44% △평택고덕 40% △위례 35% △인천검단 33% △파주운정 19% 등이다.

주요 사업시행자인 한국주택도시공사(LH)에 따르면 2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비는 총 26조4000억원으로 이 중 실제 집행된 건 17조9000억원(67%)이다. LH 부담액은 10조3000억원으로 이 가운데 8조4000억원(81%)이 집행됐다. 2007년 동탄1지구를 시작으로 2기 신도시 입주 15년을 맞았지만 광역교통대책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집행 완료가 끝은 아니다. 김포한강도시는 대책비 집행, 사업 이행 모두 100% 완료했지만 여전히 교통난에 시달린다. 손기민 중앙대 교수는 "개통된 철도마저 노선·운행 면에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주민들이 이를 외면하면서 자동차 이용이 늘고 고속도로 혼잡으로 이어지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기존 신도시의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3기 신도시부터 '선개통 후입주'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완료되기 전까지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7월부터 128개지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조만간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장호 한국교통대학 교수는 "신도시는 자동차·버스보다 철도권역인데, 철도 건설은 빨라야 5~6년이고 통상 10년정도 걸리는 사업"이라며 "3기 신도시 교통대책을 앞당긴다 해도 비슷한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 (사업 지연을 일으키는) 예타 면제 등 근본적인 대책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