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사드기지 새벽 물자 반입… 주민 등 반대에도 '정상화' 속도

 정부와 군 당국이 현지 주민 등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경북 성주 소재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기지 '정상화' 조치에 속도가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드 반대 단체인 '소성리 종합상황실'에 따르면 일요일인 4일 오전 1시30분쯤 불도저 등 공사장비와 유류차 1대, 승합차 등 총 10여대의 장비가 사드 기지로 반입됐다. 한미 당국이 작년 5월 사드 기지 내 장병 생활관 리모델링 공사를 시작한 이후 휴일에 장비 등이 반입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주한미군 사드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공격에 대비한다는 차원에서 지난 2017년 4월 국내에 반입됐다. 그러나 일부 지역 주민과 사드 반대 단체들은 기지 공사용 자재나 장병 부식 등 물자가 차량을 통해 기지 내로 반입될 때마다 시위를 벌여 이를 저지하는 현지 경찰들과 충돌을 빚곤 했다.


이에 미군 측은 그간 사드 레이더 가동에 필요한 유류 등 핵심물자는 차량이 아닌 헬리콥터를 이용해 기지 내로 공수해온 상황이다.


그러던 중 정부와 군 당국은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난 5월부터 차량을 이용한 사드기지 내 물자 보급횟수를 기존 주 3차례에서 5차례로 늘렸다. 현재는 '상시 지상 접근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 중이다.


이날 물자 보급 또한 이 같은 조치의 일환이란 해석이 나온다.


소성리 종합상황실도 "경찰·국방부 관계자는 '주말 내 작전은 없다' '안심하라'는 말을 수 없이 해왔다"며 "그런데 야음을 틈타 마을을 지배하고 도둑같이 들어가는 행위는 명백히 주민들의 뒤통수를 치는 짓"이라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군 당국은 사드 반대 주민·단체들의 반발을 고려, '상시적인 지상 접근'보다는 지역 경찰 등과 협의해 당분간 미국 측이 원하는 시간대에 기지에 출입할 수 있도록 사전 조율을 거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3일에도 사드 반대 주민·단체 등 600여명이 참석하는 집회가 열렸다.


정부 당국은 또 성주~대구 고속도로 건설, 종합복지타운 건립 등도 조속히 추진하면서 사드 기지 인근 지역 주민들과 소통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