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급등이 멈춰 세운 화물차…장기화 땐 물가에도 '불똥'

물류비용 오르며 공급 부족해지면 가격 뛰고 물가상승 압력↑

정부-화물연대 '강 대 강' 대치…"노사 협의점 찾는 노력 필요"

 

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다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국내 공급망마저 차질을 빚으며 상승률이 5%를 넘어선 물가에 상승압력을 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화물연대는 기름값이 폭등하며 현재의 운임으로는 감당할 수 없다면서 총파업을 선언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겹치며 심화한 공급망 불안이 에너지 가격을 밀어올리면서 생긴 고물가 파장이 산업 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형국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이날로 총파업 나흘째에 들어선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운송차질 영향은 점점 가시화하고 있다.

한쪽에선 생산품을 옮기지 못해 재고가 쌓이고, 다른 쪽에선 생산품을 받지 못해 재고 부족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주요 항만과 물류 거점에서도 운송이 멈추면서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당장은 이로 인한 피해가 크지 않더라도 파업이 장기화하면 예정된 수출입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커진다.

이처럼 물류 대란으로 운송비용이 오르면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제품 가격이 올라 물가 인상을 피하기 어려워진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4년 만에 5% 넘게 오른데다 6·7월 상승률을 6%대로 점치는 전문가들도 적잖은 상황에 물가압력에 '악재'가 더해지는 셈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부 교수는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수송이 되지 않으면서 당장 물류비용을 상승시키고, 공급 자체가 부족해지니 관련 제품 가격이 올라갈 것"이라며 "얼마나 (파업이) 오래 가느냐에 따라 물가에도 파급효과가 생긴다"라고 말했다.

정부도 비상이 걸렸다.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이와 관련 지난 8일 "화물연대 파업부터 글로벌 공급망 교란으로 인한 물가상승 압력 등 현안과제 대응이 중요한 임무"라고 밝혔다.

그는 전날(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 기자간담회에서도 "화물운송뿐 아니라 모든 분야가 인플레이션 압력 고통으로 허리띠를 조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혜를 모아 최선의 합리적 방법을 찾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물가를 잡기 위해서라도 총파업이 장기화하지 않도록 협의점을 찾는 게 급선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금처럼 정부와 화물연대가 총파업을 두고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를 요구하는 화물연대는 정부 확답을 받기 전까지 파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안전운임제는 낮은 운임으로 과로·과적·과속운행이 고착화된 화물노동자의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 최소한의 운임을 공표하는 제도인데, 올해 말 일몰된다.

이에 정부는 대화의 장은 열려 있다면서도 '법과 원칙'을 내세우며 엄정대응 기조를 유지 중이다.

강 교수는 "파업 장기화 전 빨리 협의점을 찾아야 하는데, 파업 중지를 위한 합의를 봐선 안 된다"며 "노사가 합의해야지 이전처럼 정부가 개입해 합의하게 하는 식으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