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 결과, 경남정치권에 어떤 의미?…잘못하면 표로 혼난다

국민의힘 압승이지만 '보수텃밭'은 옛말…민주당엔 회초리

보수텃밭에서 국정농단 등 거치며 진보 강세 지역 등장 '진일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1일 마무리 됐다. 경남에서는 경남도지사에 박완수 국민의힘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당선됐다. 도내 18개 시·군 단체장에는 국민의힘 후보가 14석,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1석을 차지했다. 보수성향의 무소속 후보도 3명이 당선됐다.

지난 제7회 지방선거에서 도지사와 창원시장 등 총 8개 단체장을 배출하며 역대 최고 승리에 취했던 민주당이 4년 사이 민심을 잃고 곤두박질 쳤다. 경남의 정치권력이 교체된 셈이다.

경남은 애초 ‘보수텃밭’이라 불리며 보수정당 후보가 ‘깃발을 꽂으면 당선된다’는 우스갯소리도 들리던 곳이다. 하지만 해를 거듭하며 민주주의 의식이 차차 성숙해지는 모습이다.

예부터 무조건 ‘보수’라는 지역적 성향이 강했지만 2000년 초쯤 고(故) 노무현 대통령의 등장으로 ‘낙동강 벨트’는 새로운 프레임의 변화가 나타났다. 노 대통령의 고향인 김해를 중심으로 낙동강 인근의 양산 등 지역이 진보 성향을 띈 것이다. 

‘보수텃밭’이라는 경남에서 진보강세 지역이 생겼다. 임기를 마친 노 대통령이 귀향하면서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은 정치인의 성지(聖地)가 됐으며, 지금은 여야 정치인을 가리지 않고 방문한다.

그럼에도 여전히 보수텃밭이라는 고착된 이미지를 벗어내기에는 충분치 못했다. 이어진 제17대 대통령선거에서는 경남도민들은 이명박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후보에게 55.02%의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당시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민주당 전신) 후보는 불과 12.35%에 그쳤다.

이어 18대 대선에서는 이전보다 격차는 줄었지만 여전히 보수 후보에 큰 지지를 보냈다. 박근혜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후보가 63.12%, 문재인 민주통합당(민주당 전신) 후보가 36.33%를 득표했다.

그러나 경남도민들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보수에 대한 실망을 느끼고 표로 회초리를 들었다. 보수텃밭이라 불리던 경남에서 홍준표·문재인 제19대 대선 후보들의 표차는 불과 0.51%p에 그쳤다.

이후 1년여 뒤 열린 제7회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보수텃밭 경남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뒀다. 경남도지사와 창원시장 등 8개 지역에 민주당 소속 단체장을 배출하며 깃발을 꽂은 것이다. 도민들이 당근과 채찍 제대로 사용한 것이다. 보수텃밭은 옛말이 돼 버렸다.

그러나 4년이 흘러 다시 제8회 지방선거가 열렸다. 민주당은 어렵게 잡은 기회를 끝내 놓쳐버렸다.

첫 민주당 경남지사였던 김경수 전 도지사는 ‘드루킹 사건’으로 유죄를 받아 중도에 하차했고,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에 창원 등 경남은 시름했다. 대우조선해양을 현대중공업으로 인수합병 하려던 정부를 아니꼽게 보는 시각도 더러 있었다.

일찌감치 토라진 민심을 살필 법 했지만, 민주당은 별다른 대안을 내놓지도 않았다.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이번 선거를 포기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도민들은 민주당에 대한 실망·불만을 주권을 행사하며 드러냈다. 보수텃밭이라 불리던 경남은 나태해진 정치권력에 대해 표로 따끔하게 혼내며 점차 정치의식이 성숙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지선에서 경남도지사에 당선된 박완수 국민의힘 후보도 “4년 전 경남도지사를 비롯해서 기초자치단체장도 민주당이 많이 가져갔다. 하지만 4년간 경남의 위상이나 여러 부분이 많이 힘들어졌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번에는 국민의힘을 지지해 주셨고, 이것은 국민의힘에게 더 큰 책임을 맡긴 것이라 생각한다. 오히려 국민의힘이 의무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더 열심히 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