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실직' 비정규직이 정규직의 4.1배…임금삭감은 3.4배"

'코로나 고통' 비정규·중소기업·저임금 근로자에 집중

직장갑질119 조사…"코로나 휴가도 제대로 사용 못해"

 

실직·소득감소 등 코로나19의 고통이 비정규직·중소기업·저임금 근로자에게 집중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은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직장인 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4~31일 실시한 '코로나19와 직장생활 변화' 여론조사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직장갑질119 제공) © 뉴스1


이번 조사에서 2020년 1월 코로나19 이후 '실직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17.2%였다.

비정규직(31.4%), 고용규모 5인 미만 사업장 재직(5인 미만·24.7%), 소득 150만원 미만 저임금노동자(저임금노동자·31.4%)의 실직 경험 비율이 정규직(7.7%), 대기업(11.2%), 소득 500만원 이상(5.7%)의 각각 4.1배, 2.2배, 5.5배에 달했다. 

소득이 감소했다는 대답은 전체 응답의 32.9%에 달했다. 소득 감소 역시 비정규직(57.0%), 5인 미만(44.2%), 저임금노동자(57.7%)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으로 불이익없이 유급 병가를 사용할 수 있었다는 대답은 47.5%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유급 병가를 자유롭게 쓰지 못했다는 응답 역시 비정규직(70.0%), 5인 미만(66.7%), 저임금노동자(75.3%)에게 집중됐다.

지난 3개월간 백신·검사·격리휴가를 불이익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는 응답이 61.7%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규직(70.8%)과 비정규직(48.0%) △공공기관(79.1%)과 5인 미만(48.3%) △고임금노동자(81.0%)와 저임금노동자(41.3%) 등 응답자 특성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직장갑질119 제공) © 뉴스1


직장갑질119 측은 "백신휴가, 검사휴가, 격리휴가를 대기업·정규직 노동자는 자유롭게 쓰는 반면 중소기업·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해석했다.

직장갑질 119측은 또 "문재인 정부는 지난 2년 동안 코로나 노동소득 손실과 무급휴가 강요에 어떤 대책도 내놓지 않고 코로나 고통을 덮어쓴 비정규직을 외면했다"며 "새 정부는 코로나 실직, 소득감소, 무급휴가 강요로 인한 손실을 전액 보상하는 긴급대책을 마련하고 유급병가 및 상병수당 제도를 즉각 도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권두섭 직장갑질119 대표(변호사)는 "정규직, 대기업, 공공기관 사업장에는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 유급병가제도를 도입한 곳이 있지만 중소영세기업, 저임금, 비정규직에는 그런 제도가 없다"며 "유급병가제도를 노동법에 도입해 프리랜서, 5인미만 사업장도 적용받을 수 있게 하고 상병수당제도를 만들어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