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전세계 반도체 시장점유율 2위…팹리스 존재감은 미약

작년 한국 시장점유율 22%…미국 54%로 1위

 IDM 점유율 33%인데 팹리스는 1% 그쳐

 

전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점유율이 2위를 기록하는 등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메모리 반도체에 편중된 사업 구조는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로 지적된다.

6일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은 22%의 점유율을 기록해 미국(54%)에 이어 2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종합반도체회사(IDM)와 팹리스 등 기업 브랜드로 반도체를 직접 판매한 기업들의 본사 소재지를 기준으로 집계됐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은 반도체를 제조해도 자사의 브랜드로 판매하지 않아 집계 대상에서 제외됐다.

한국은 IDM 부문 시장점유율이 33%로 높은 편이었다. 메모리 반도체 1·2위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매출에 따른 결과다. 반면 팹리스(Fabless·반도체설계전문) 부문 시장점유율은 불과 1%에 그쳤다.

미국은 IDM 부문 시장점유율 47%, 팹리스 부문 시장점유율 68%로 모두 1위였다. IC인사이츠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IDM과 팹리스 등이 전체 시장에서 가장 균형을 이루고 있다"며 "한국은 팹리스 부문에서 존재감이 극히 약하다"고 말했다.

대만은 전체 시장점유율 9%로 3위에 올랐다. 대만은 한국과 반대로 IDM 부문 시장점유율은 3%로 낮았지만 팹리스 부문이 21%로 높았다.

유럽과 일본의 전체 시장점유율은 각각 6%로 그 뒤를 이었다. 일본의 경우 지난 1990년 기준 전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49%의 점유율을 기록해 미국(38%)을 제치고 1위였다. 하지만 지난 30년 동안 급격히 내리막을 걸으며 2021년에는 6%까지 하락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점유율을 38%에서 54%로 끌어올리며 1위 국가로 올라섰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일본 제외)도 시장점유율이 4%에서 34%로 급증했다. 해당 기간 아태지역 국가들의 연평균 성장률은 15.9%로 전체 평균(8.2%)의 두 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