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 급부상 배경은…경제에 '통상안보' 다 갖췄다

정통 엘리트 경제 관료 출신…초대 통상교섭본부장에 한미FTA 주도

'호남 출신+진보정부 인사' 국회 인준 '안정적'…"尹, 주말쯤 직접 발표"

 

한덕수 전 국무총리(73)가 유력한 '윤석열 정부' 첫 총리 후보자로 급부상한 배경에는 경제와 통상 전문가, 여기에 호남 출신이란 점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1일 윤 당선인 측의 전언을 종합하면 한 전 총리는 당선인의 국정 철학을 뒷받침할 역량을 충분히 갖췄다는 평가다.

한 전 총리가 총리 후보자로 지명되면 약 15년만에 다시 총리로의 귀환이 유력해진다. 그는 20007년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관료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총리에 오른 바 있다.

윤 당선인 측은 그동안 새 정부의 총리상으로 경제와 안보를 모두 관할할 수 있는 능력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다.

한 관계자는 "총리는 각 부처 장관들을 조율하고 거중 조정할 수 있는 리더십이 요구되는 자리"라며 "경제와 안보를 같이 관할할 리더십 역량을 갖춘 적임자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제에서 반드시 이력을 보유해야 한다는 것을 넘어 원팀으로 조화롭게 정책에서 싱크로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국정의 두 축인 경제와 안보를 관할할 수 있는 분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조건을 가장 충족하는 인물이 한 전 총리라는 의견이다. 그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1970년 행정고시 8회로 공직사회에 첫발을 들인 그는 과거 상공부 중소기업국장, 대통령비서실 통상산업비서관, 특허청장, 통상산업부 차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 국무조정실장, 재정경제부 장관 등을 역임한 정통 엘리트 경제 관료 출신이다. '경제'는 다른 어느 총리 후보들보다 전문성을 갖췄다는 데 이견이 없다.

 

여기에 '통상' 분야에서도 민관을 막론하고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전문성을 인정 받았다. 

윤 당선인이 강조하는 '안보' 분야는 국방보다는 '통상' 쪽에 방점이 찍혀 있다. 지난해 반도체 대란에 이어 요소수 사태, 최근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시멘트 대란 등 '경제 안보'를 수호하는 것이 곧 민생과 국가 안위와 직결된다는 이유에서다.

한 전 총리는 김대중 정부에서 초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일했으며, 노무현 정부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진행될 때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으로 사안에 깊숙이 관여했다.

이후 한미FTA 체결 지원위원장 겸 한미 FTA 특보를 맡아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주미대사로 3년간 일하며 당시 조 바이든 부통령(현 대통령)과 친분을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의 '한미동맹' 강화 기조에도 부합하는 셈이다. 공직에서 물러나서는 한국무역협회장으로 3년간 일했다.

한 전 총리가 전북 전주 출신으로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주요 보직에 기용된 점 등이 '여소야대' 정국에서 국회 인준을 수월하게 할 것이란 분석도 내정 가능성을 키우는 요소로 꼽힌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윤 당선인은 출신 지역보다 능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인사한다는 방침이 확고하다"며 "그러나 한 전 총리가 호남 출신이란 점이 자연스럽게 지역 안배로 이어지면서 더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경제통'인 또다른 관계자는 "한 전 총리가 지명된다면 그 자체로 윤 당선인의 의중이 어떤지를 분명하게 읽을 수 있는 메시지"라며 "그만큼 경제·통상 전문가가 한 전 총리"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이번 주말을 넘기지 않고 총리 내정자를 직접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너무 기다리지 않게 4월 초 발표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그동안 보통 당선인이 총리 후보자를 발표하거나 내정하는 것이 비교적 많은 관례였다"고 윤 당선인의 직접 발표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말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