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포위망' 강화하는 美, 올림픽 '외교 보이콧' 카드도 검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외교적 보이콧(diplomatic boycott)'을 고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직접 밝히면서 강행 시 어떤 나라들이 동참할지 관심이 쏠린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정상회담 후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취재진의 물음에 "우리가 고려하는 게 있다"고 답했다. 

그간 언론 보도로만 나온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가능성을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시사한 발언으로, 선언이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앞서 지난 16일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화상 정상회담 이후 워싱턴포스트를 시작으로 로이터 등 영미권 언론들은 '바이든 정부의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가능성'을 잇달아 보도했다.  

바이든 정부는 이달 말까지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정부가 고려 중인 외교적 보이콧은, 선수단은 대회에 출전하되 정부 대표단만의 개막식 등 불참으로 한정된다. 

◇신장·홍콩 '인권' 문제로 시작된 올림픽 보이콧 구도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문제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 때부터도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 나오던 주장이다. 인권을 중시하는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에는 휴먼라이츠워치(HRW) 등 인권단체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더욱 힘을 받았다.

신장 자치구 위구르족 강제수용소에서 벌어진 강제노동과 성폭력 등 인권 탄압 의혹이 발단이 됐다. 미국과 영국을 위시한 서방 국가들은 위구르족 문제 비판 수위를 높여왔고, 중국은 이를 부인하며 대립 구도를 형성해왔다. 

 

이에 실제 보이콧이 이뤄진다면, 그간 신장 문제에서 함께 목소리를 내온 일부 서방 국가들의 동참도 예상해볼 수 있다. 

영국은 신장 문제에 목소리를 높여온 주요 국가로, 영국 정치권에서는 제1야당인 노동당을 중심으로 중국 정부가 신장 문제 관련 유엔의 실태조사를 허용하지 않을 경우 베이징 올림픽에 불참해야 한다는 주장이 올해 7월 제기된 바 있다.

올해 2월엔 캐나다 정치권에서도 제1야당인 보수당에서 "일부 시민에 대해 집단학살을 자행하는 나라가 주최하는 올림픽 대회에 참여하는 것은 보편적인 기본 윤리 원칙에 위배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유럽연합 의회에서는 지난 6월 홍콩의 반중매체 빈과일보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폐간된 뒤, 중국 정부가 인권 상황이 개선됐다는 증거를 제시할 때까지 유럽 정부 대표와 외교관의 베이징 올림픽 초청 거절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제출되기도 했다.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문제가 이슈가 되자,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미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관련해 우리는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들과 함께 공통적 우려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며 "공동의 접근법을 확립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보이콧 시 동맹·파트너 국가들의 동참을 촉구한 것이다. 

◇인권, 바이든 '가치외교' 핵심…동맹 규합 압박 전략  

인권은 민주주의와 함께 바이든 대통령의 '가치외교'를 구성하는 핵심 가치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중 견제 구상에서도 이 가치를 공유하는 동맹·파트너국가들과 함께 중국에 대응하는 외교 전략을 모색해왔다. 

미국과 일부 서방 국가들이 신장 인권 탄압 의혹 규탄을 매개로 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강행할 경우, 또 다른 대중 전선이 만들어지는 셈이다.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은 베이징 올림픽 개최를 한 달여 앞둔 다음 달 9~10일 세계 민주주의 정상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도 중국과 러시아의 권위주의에 대응, 인권과 민주주의 관련 목소리를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올해 1월 취임 이후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회복'을 명목으로 동맹·파트너국을 규합, 다양한 반중 전선을 형성해왔다. 지난 3월에는 일본·인도·호주와 구성한 4개국 안보협의체 '쿼드' 첫 화상 정상회의를 연 데 이어, 9월에는 첫 대면 정상회의까지 개최해 쿼드 협력을 구체화했다. 

올해 9월엔 영국, 호주와 함께 대중국 견제 안보 파트너십 '오커스'를 전격 출범시키는가 하면, 이날은 트럼프 정부에서 멈춰 섰던 멕시코·캐나다와의 북미 3개국 정상회담도 5년여 만에 재가동했다. 북미 3개국은 내년 10차 정상회의를 멕시코에서 개최하기로 약속하며 정례화 부활을 다짐했다.  

한편, AFP와 악시오스에 따르면 미 정치권 일각에서는 베이징 올림픽 전면 보이콧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다만, 전면 보이콧은 선수들의 기회를 박탈한다는 비판에 직면해온 만큼 실행 가능성은 적다. 미국 정부는 냉전 시기이던 1980년 러시아 모스크바 올림픽을 전면 보이콧한 바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