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웅 "윤석열 언급돼 배후라는 것은 억지…고발사주 실체 없어"

"대검서 고발장 받은 거면 왜 '대검에 잘 얘기하겠다' 하겠나"
비공개 출석 예상됐지만…차폐시설 통하지 않고 공개 출석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 재직 시절 불거진 검찰의 '고발사주' 의혹과 관련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출석했다.

김 의원은 3일 오전 9시45분쯤 과천 공수처 청사에 모습을 드러냈다. 공수처에 현직 국회의원이 소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의원은 이날 심경을 묻는 질문에 "헌법과 형사소송법에 기대서 야당이 싸울 수 있는 최대한의 방법을 동원해 반드시 싸울 것"이라며 "부당한 선거개입에 대해선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조성은씨와 지난해 4월3일 통화하면서 "고발장 초안을 아마 '저희가' 일단 만들어서 보내드릴게요"라고 언급한 '저희'가 누구냐는 질문에는 직답을 하지 않았다. 

다만 '제보사주 의혹'과 관련해 조씨가 '우리 원장님(박지원 국정원장)이 원하는 날짜가 아니었다'고 언급한 것을 거론하며 "그 부분에 대한 수사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녹취록에 윤 전 총장이 언급됐다는 질문에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윤 전 총장이 지시·협의 했다는 내용은 전혀 없다"며 "사람 이름이 언급됐다고 해서 만약 그 사람이 배후라고 하면 최강욱·황희석은 왜 배후가 아닌가. 제가 보기엔 완전 억지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발사주란 제가 보기엔 실체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고발장과 대검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그 내용을 기억 못한다고 했었다"면서도 "녹취록에서 '대검에 잘 얘기해두겠다'고 제가 말했다 해도 만약 대검에서 받은거면 왜 그런 말을 하겠냐.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다"고 일축했다.

김 의원은 고발장을 누구에게 받았는 지에 대한 질문에는 "제가 몇 번이고 얘기했지만 그걸 누구한테 줬는지 제보자가 누군지도 기억 전혀 못하고 있었고 통화 내용도 그렇게 했음에도 전혀 알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것들을 기억 못하면서 제보자를 기억하라는 건 앞뒷말이 안 맞는거 같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소환 당일까지 일정을 철저히 함구하며 비공개 출석을 원했지만, 막판 마음을 바꿔 공개적으로 출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2일 조사를 받은 손준성 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현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은 비공개로 출석한 바 있다.

공수처는 이날 김 의원을 상대로 지난해 4월3일 이 사건 제보자 조성은씨에게 고발장을 전달한 경위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당시 조씨에게 고발장을 전달하기 전후로 두차례 전화를 걸어 "고발장 초안을 저희가 일단 만들어서 보낸다", "(고발장을) 남부지검에 내랍니다", "그쪽에다 이야기를 해놓겠다"는 발언을 했다.

최근 조씨의 휴대전화 등을 포렌식 한 공수처는 통화녹취를 증거로 제시하며 고발장을 전달한 경위를 조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간 여러 차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되풀이해온 김 의원은 이날 조사에서도 비슷한 취지로 주장을 할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지난9월 20일에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오랫동안 대화했다고 하는데도 기억을 못했는데 (지금 와서) 기억했다고 얘길 하면 여러분이 믿어주겠나"라고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고발사주 의혹' 관련 고발장 작성 주체에 대해선 "'저희'란 말을 계속하는데, 제가 기억한 바에 의하면 검찰은 아닌 것 같다"고 해명했다.

앞서 공수처는 전날 손준성 검사를 불러 약 13시간 동안 조사를 벌였다.

조씨와 김 의원간 텔레그램 대화에 남은 '손 준성 보냄'이란 표시 증거를 확보한 공수처는 고발장 등 파일의 최초 전송자를 손 검사로 특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손 검사는 전날 조사에서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이날 김 의원 조사를 마친 뒤 이를 토대로 손 검사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