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北과의 대화서 원전 거론 없어…미국에도 USB 제공"

  4·27 정상회담 당시 국가안보실장…"USB 공개는 부적절"

"미국에 한반도신경제구상 설명…충분히 수긍"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일 '북한지역 원전 건설 추진 문건' 의혹과 관련해 "북한과 대화의 과정에서 전혀 거론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지난 2018년 1차 남북정상회담(4·27 판문점 회담) 당시 국가안보실장을 지냈다.

정 후보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인근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가 북한에 대해 원전을 지원하기로 하는 방향을 검토했다는 건 어불성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어떤 나라도 북한에 원전을 제공할 수 없다"면서 "청와대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에서 원전 제공 문제를 내부적으로 검토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최근 월성 1호기 조기폐쇄 관련 감사 직전 산업통상자원부 공무원들이 삭제한 파일 중에는 북한 원전 건설 추진 관련 문건이 담긴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됐다. 해당 문건은 4·27 판문점 회담 직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후보자는 북한에 원전을 제공하려면 △비핵화 협상 마무리 단계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 △핵확산금지조약(NPT) 복귀 △국제원자력지구(IAEA)와 세이프가드 협정 별도 체결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4·27 판문점 회담 당시에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총서기에게 제공한 USB에 대해서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략적인 아이디어"라며 "에너지 및 전력 분야에서는 신재생 에너지, 낙후된 북한의 수력 화력 발전 개선 재보수 사업, 슈퍼그리드망(대륙간 전력망) 확충 방안 등의 대략적인 방안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미측에도 북한에게 제공한 것과 동일한 USB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그는 "4·27 판문점 회담을 앞두고, 또 그 이후에 세차례 미국을 방문해 당시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에게 한반도 신경제구상에 대해 설명했다"면서 "4·27 판문점 회담 직후 워싱턴을 방문해 미국에 북한에 제공한 동일한 USB를 제공하면서 그 취지를 설명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 비핵화에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경우 남북경협 비전이 제시하는 목적의 자료였다는 점을 설명했고 미국이 충분히 수긍했다"면서 "이후 6·12 싱가포르 북미 회담에서 미국도 우리가 제공한 것과 유사한 내용의 동영상을 제작해 아이패드로 북측에 보였다고 한다"고 전했다.

해당 USB를 공개할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정상회담 차원에서 정상 간 논의의 보충자료로 제공한 자료를 공개한다는 것은 정상회담 관행과 남북관계 상황을 비춰봤을 때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정 후보자는 "USB 내용은 언젠가는 공개될 것"이라며 "지금 공개하는 것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적절치 않다"고 덧붙였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