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 유튜버가 신고한 연봉 '13억원'

국세청 2023년 귀속 통계…유튜버-BJ 상위 10%는 3.6억원

 

수입 상위 1% 유튜버가 평균 13억 원의 연봉을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하면 수입은 보장되지만, 경쟁이 치열하다. 유튜버를 비롯한 1인 창작자로서 과세 당국에 수입을 신고한 이들은 4년 동안 약 20배 폭증했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유튜버·인터넷 방송 진행자(BJ)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 2만 4797명의 2023년 귀속 총수입은 1조 7816억 원으로 집계됐다.

그중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247명은 1인당 연평균 13억 2500만 원을 번 셈이다.

상위 1%의 총수입은 3271억 원으로, 전체의 18.3%를 차지했다. 국세청이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업종 코드를 신설한 지난 2019년(978억 원)과 비교해 상위 1% 유튜버 총수입이 35.5% 급성장했다.

상위 10% 안에 들어가는 2479명의 총수입은 8992억 원으로 1인당 연봉 3억 6200만 원꼴이었다. 이들이 번 수입은 전체의 50.3%에 달했다.

1인 미디어 창작자는 최근 4년 동안 19배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지난 2023년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인원은 2019년 1327명 대비 18.7배 불어났다. 지난 2022년 1만 9290명에서 한 해 동안 5507명이 늘어나면서 2023년 처음으로 2만 명을 넘겼다.

수입도 유사한 속도로 증가했다.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이 국세청에 신고한 총수입은 지난 2019년 1011억 원에서 4년 새 17.6배 늘어났다.

다만 세무조사 건수는 지난 2년간 비슷했다. 국세청이 2019년부터 올해까지 유튜버를 대상으로 실시한 세무조사는 67건인데, 그중 2023년이 24건, 2024년이 21건으로 오히려 1년 새 줄어들었다.

정 의원은 "1인 미디어 시장이 커지고 유튜버·BJ들의 수입이 매년 급격하게 느는데 세무조사는 3년간 거의 증가하지 않고 있다"며 "자극적이고 극단적인 콘텐츠 양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설계해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