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尹 담화 주장 조목조목 반박…"데이터 조작 불가능"

계엄군이 촬영한 서버는 폐쇄망…원격 접속 불가

"시스템 취약점 총선 전 조치…정당 참관인 입회 하 현장 점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윤석열 대통령이 부정선거 의혹 확인을 위해 계엄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선관위 전산시스템을 점검하도록 지시했다는 담화에 대해 13일 조목조목 반박했다.

전날 선관위는 "윤 대통령의 담화는 자신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시스템을 자기부정하는 것"이라고 정면 반박하기도 했다.

선관위는 이날 오후 설명자료를 통해 "선거관리위원회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조작이 가능하다는 주장은 수용 불가능하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전날 윤 대통령의 담화를 물꼬로 제기된 국정원 직원의 해킹 시도에 얼마든지 데이터 조작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두고는 "합동 보안컨설팅 당시 모의해킹은 국정원이 사전 요청한 시스템 구성도·정보자산 현황·시스템 접속계정 등 시스템 정보를 제공했고, 위원회 보안정책도 예외 처리하는 등 시나리오 상황 하의 결과"라며 "해당 내용으로 기반으로 위원회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조작이 가능하다는 주장은 수용하기 어렵다"라고 했다.

특히 지난 12·3 비상계엄 사태 계엄군이 선관위 서버 사진을 촬영해 서버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 원격으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는 주장에도 적극 반박했다.

선관위는 "해당 서버들은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폐쇄망으로 외부에서 원격 접속 자체가 불가능하다"라며 "CCTV와 보안시스템 확인 결과 계엄군이 전산실에 실제 머무른 시간은 약 15분가량이다. 서버 사진을 촬영했으나 라우터 등 통신장비를 연결하거나 서버에 접속 또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사실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했다.

이어 선관위가 전체 시스템·장비에 대한 점검에 불응하고 일부만 허용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합동 보안컨설팅은 지난해 7월 3일부터 9월 22일까지의 기간 중 위원회 서버시스템 전체를 대상으로 점검을 진행했다"며 "점검 불응 및 일부만 허용하였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시스템 취약점 지적사항 186건 중 170건은 제22대 국선(총선) 전 조치를 완료했다"라며 "선거장비(투표지분류기 및 본인확인기 등) 프로그램 취약점을 조치했고, 개선 결과를 국정원 통보했다. 정당 참관인 입회하에 국정원의 2차례의 이행 여부 현장 점검도 완료했다"라고 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