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쇼크' 高환율에 체감물가 비상…"국민이 고물가로 값 치를라"

"고환율 오래 가면 식품·에너지 등 체감물가↑"

"환율 패닉에 기업 가격 미리 올릴수도…가격 관리할 정부도 없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거취가 정리되지 않은 가운데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면서 그 불똥이 장바구니 물가에 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불확실한 정치 상황이 지속될수록 환율이 오르고, 수입 물가도 상승하며 수입 식품과 에너지 가격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품목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국민 체감 물가가 상당폭 오를 수 있다는 게 경제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11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달러·원 환율은 전날(10일) 오후 3시 30분 기준으로 전날 대비 10.1원 내린 1426.9원에 마감했다.


달러·원 환율은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1440원대에 달하기도 했다. 정책 당국의 개입에 힘입어 이후 다소 안정된 모습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내란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 여부가 불명해 앞으로도 정국 혼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당분간 초강달러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오재영 KB증권 연구원은 "사태가 빠르게 수습될 기대가 낮아지고 있는 만큼 1390~1450원 내에서 달러·원 환율이 레벨을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문제는 이러한 환율 상승의 파급 효과가 서민 체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 물가도 오르기 마련인데, 소비자가 피부로 느끼기 쉬운 식량과 에너지를 대부분 수입하는 우리 경제 특성상 고환율은 체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쉽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기업이 식품을 생산할 때 카카오나 설탕 같은 원료를 주로 수입하는데, 환율이 오르면 식품 기업들의 원가 상승 압박으로 작용한다"며 "가계나 산업에 영향을 주는 에너지 가격도 오르고 각종 가격 상승 압력이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최 교수는 "현재 전체 소비자물가는 상승률이 상당히 둔화하는 기조이기 때문에 다시 큰 폭으로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식품과 에너지 등 소비자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는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환율이 오르더라도 당분간은 계약 가격으로 수입이 되기 때문에 당장 수입 물가가 오르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정치적 혼란에 고환율이 오래 갈수록 체감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커진다. 또 경제주체들이 미리 반응하면서 예상보다 체감물가가 빠르게 오를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환율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국내 기업들이 원자재 가격이 오르기도 전에 국내 가격을 높일 수 있다"며 "수입물가가 가격에 영향을 주는 시차가 예전보다 많이 줄었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특히 "정부의 컨트롤 능력 약화로 가격을 관리할 수 있는 여지도 줄어든 상황"이라며 "수입물가 상승에 대한 시장 반응이 예상보다 빠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