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단 거목' 신경림 타계, 향년 88세…노태우 정권선 사찰 대상

"서민 애환 노래한 민중시인"

 

한국 문단의 거목이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인 신경림(88) 시인이 22일 오전 8시 17분께 타계했다. 향년 88세.

이날 문학계에 따르면 고 신경림 시인은 그동안 암 투병 중이었으며, 경기 고양시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숨을 거뒀다.

 

신경림은 1935년 충북 충주에서 출생했다.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56년 '문학예술'에 '갈대' 등이 추천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건강상 이유로 낙향해서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다가 서울로 재상경해 잡지사와 출판사 등에서 일하면서 10년 동안 작품 활동을 중단하기도 했다.

1965년부터 다시 시를 쓰기 시작해 '원격지', '산읍기행', '시제' 등을 발표했고, 1971년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농무', 전야', '서울로 가는 길' 등을 선보였다. 이때부터 그의 시는 서민의 애환을 많이 다뤄 '민중 시인'의 칭호를 얻었다.

 

그동안 펴낸 시집으로 '농무', '새재', '새벽을 기다리며', '달넘세', ‘씻김굿', '우리들의 북', '가난한 사랑노래', '남한강', '쓰러진 자의 꿈', '우리들의 복', '저 푸른 자유의 하늘', '갈대',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목계장터', '뿔', '낙타' 등이 있다.

만해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이산문학상, 단재문학상, 대산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4·19문화상, 호암상(예술 부문) 등을 수상했으며,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상임의장을 지냈다.

1990년 10월 민학투련 출신으로 보안사령부에 연행돼 프락치 활동을 하다가 탈영한 윤석양 이병의 폭로로 노태우 정부에서 국군보안사령부의 사찰 대상이었던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질 예정이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