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9세 맞벌이, 열 중 넷은 '무자녀'…9년새 15%p 껑충

한국노동硏 보고서…"주거 불안정성, 출산 저해"

딩크족 비중, 집값 비싼 서울 45% >그외 20%대


25~39세 맞벌이 부부 열 중 네 쌍은 자녀가 없는 '딩크'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지난 10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기준 가구주가 25∼39세인 청년층 기혼 가구 중 27.1%는 무자녀 부부였다.


9년 전인 2013년(22.2%)과 비교하면 4.9%포인트(p) 늘어난 수준이다.


부부가 모두 일을 하는 맞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더욱 높았다.


청년층 맞벌이 부부의 무자녀 부부 비중은 2013년 21.0%에서 2022년 36.3%로 15.3%p 상승했다.


반면 부부 중 한 명만 일 하는 외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13.5%로 2013년(12.3%)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맞벌이 부부와 달리 외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지난 10년간 큰 변화가 없었단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자녀 유무에 따른 아내의 취업상태를 비교해 보면 무자녀 부부의 경우 아내가 취업 상태인 비율은 2013년 53.2%에서 2022년 71.0%로 17.8%p 올랐다.


반면 유자녀 부부 아내의 취업 비중은 36.6%에서 40.6%로 4.0%p 늘어나는 데 그쳤다.


보고서는 "여전히 직장 업무와 출산·양육 양립의 어려움으로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유자녀 부부에게 많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자가 보유 비중은 유자녀 부부(52.0%)가 무자녀 부부(34.6%)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주거 불안정성이 무자녀 부부의 출산 저해 요인 중 하나임을 추측해 볼 수 있다"며 "2022년 기준 서울시의 무자녀 부부 비중은 2022년 기준 45.2%로 서울을 제외한 다른 지역이 20%대인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서울시의 높은 주택가격 등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며 "무자녀 부부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주거 지원 확대가 필요해 보이며, 무자녀 부부 아내의 노동시장 특징별로 출산 유인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