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자산 5.3억, 집값 하락에 첫 감소…가계 빚 평균 9186만원

1년 전보다 2045만원 ↓…고령층 빼고 집값 따라 가난해져

이자비용 18% 급증…소득 하위 20% 부채도 22.7% '쑥'


우리나라 가구 자산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역대 처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물자산, 그 중에서도 부동산의 감소세가 컸다. 지난해 집값 하락이 국민들의 재무 상황에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고금리로 인해 집안 살림도 어려워졌다. 이자비용이 18% 넘게 늘어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7일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공동 수행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2045만원(-3.7%) 감소한 5억2727만원으로 나타났다.

가구 평균 자산이 뒷걸음친 것은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통계 사상 최초 감소인 셈이다.

◇집값 따라 가난해져…60세 이상 빼고 전부 자산↓

자산 감소의 주된 원인은 집값 하락이었다. 올해 가구 금융자산은 3.8% 증가, 실물자산은 5.9% 감소했는데 이 중 실물자산의 감소는 부동산 중 거주주택(-10.0%) 감소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가계금융복지조사는 2012년부터 시작됐는데 그 이후 처음으로 자산의 감소가 나타났다"며 "실물자산 중 부동산이 전체적으로 하락하면서 그 영향이 가장 많이 작용했다"고 말했다.

자산 증감을 소득 수준별로 살펴보면, 하위 20%인 1분위(2.2%)를 빼고 모든 분위에서 자산 축소를 겪었다. 구체적으로는 △2분위 -6.5% △3분위 -4.1% △4분위 -5.2% △5분위 -3.0% 등을 기록했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60세 이상(0.9%)을 제외하고 모두 자산이 감소했다. 39세 이하에서 7.5%, 50대에서 5.9%, 40대에서 5.3%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기타(무직 등)과 자영업자의 자산이 각각 2.5%, 0.3% 늘어난 반면 상용근로자와 임시·일용근로자는 8.0%, 4.1% 줄었다.

평균 자산이 가장 많은 가구의 특징은 50대(6억452만원), 자영업자(6억6432만원) 등이었다.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부채, 1억 턱밑서 꿈틀…소득 하위 20% 빚 '급증'

가구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전년보다 17만원(0.2%) 소폭 증가에 그쳤다. 이는 금융부채(6694만원) 1.6% 감소, 임대보증금(2492만원) 5.3% 증가에 따른 결과다.

고금리 여파로 올해 3월까지 부채 증가세가 주춤했던 상황으로 풀이된다.

박 과장은 "가구 부채가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다"며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소득 수준별로는 1분위의 부채가 2004만원으로 전년비 22.7% 급증했다. 빚을 갚았거나 비슷하게 유지한 나머지 계층 △2분위(-3.7%, 4432만원) △3분위(-3.0%, 7443만원) △4분위(0.3%, 1억1417만원) △5분위(0.4%, 2억634만원) 등과 대비됐다.

박 과장은 "1분위 가구는 주로 60세 이상 가구로 거주주택 외 부동산을 구입한 모습이 나타났다"며 "(은퇴 대비 등을 위한) 임대수입이 목적으로 보이고 최근 고령층 임대업자 증가세와 일맥상통한다"고 부연했다.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별 평균 부채는 기타(무직 등)에서 9.4% 증가, 자영업자는 2.3% 감소했다. 근로 계층 내에서는 상용근로자가 부채를 0.8% 소폭 상환, 임시·일용근로자가 2.6%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부채가 가장 많은 가구의 특징은 가구주 40대(1억2531만원), 자영업자(1억2097만원) 등으로 정리됐다.

이로써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 순자산은 1년 전보다 2062만원(-4.5%) 줄어든 평균 4억3540만원을 기록했다.

박 과장은 "순자산 증감률도 역대 가장 낮았다"면서 "자산의 감소 폭이 워낙 크다 보니 생겨난 결과"라고 말했다.

◇평균 소득 4.5% 늘었지만…이자 비용 '눈덩이'

가구 평균 소득은 6762만원,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5482만원으로 나타났다. 각각 전년비 4.5%, 3.7% 증가했다.

소득 증가는 대부분 근로소득 때문이었다.

원천별로 보면 근로소득이 4390만원으로 전년 대비 가장 큰 6.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사업소득은 1206만원으로 4.0% 늘었으며 재산소득도 436만원으로 2.5% 증가했다.

반면 공적이전소득은 625만원으로 4.8% 감소했다.

소득 수준별로 살펴보면, 상위 20%인 5분위(1억5598만원)의 소득 증감률이 3.8%로 가장 낮았다. 소득 증가율이 가장 높은 분위는 2분위(3309만원) 5.6%였으며, 그 다음으로 3분위(5.4%, 5388만원), 4분위(4.9%, 8111만원), 1분위(4.3%, 1405만원) 순이었다.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가구주 연령을 구분해서 보면, 39세 이하의 평균 소득이 6590만원으로 절대 소득 규모만 아니라 전년 대비 증가율(1.9%)까지 가장 저조했다.

오히려 60세 이상의 평균 소득이 5013만원으로 7.7% 가장 높게 치솟았다. 나머지 40대(6.0%, 8397만원)와 50대(3.2%, 8404만원)는 평균 소득이 전 연령 중 최고 수준이었으나 증가율은 60세 이상을 밑돌았다.

소득이 제일 많이 늘어난 가구주 직업은 소득이 가장 적어서 증가율도 높게 나타나기 쉬운 무직 등 기타(3570만원)로 10.0%였으며, 다음으로 자영업자(5.6%, 7277만원), 상용근로자(2.6%, 8688만원), 임시·일용근로자(2.4%, 4137만원) 순이었다.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1280만원으로 8.1% 늘어났다. 세부항목별로 보면 공적연금·사회보험이 433만원, 세금이 416만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8.2%, 4.1% 증가했다.

특히 '이자비용'이 247만원으로 18.3% 급증했다. 이는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증가세다.

이에 따라 이자비용이 전체 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3%으로, 전년에 비해 1.7%포인트(p) 크게 늘었다. 나머지 공적연금·사회보험료는 33.8%, 세금은 32.5%로 비중이 같거나 오히려 축소됐다.

가계의 원리금 상환액은 평균 100만원 늘어난 125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원리금 상환이 생계에 주는 부담에 대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67.6%가 '부담스럽다'고 응답했다. 이는 전년(64.4%)에 비해 3.2%p 뛴 수치다.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는 전체의 83.0%를 차지했고 예상 은퇴 연령은 68.1세였다. 반면 이미 은퇴한 가구의 실제 은퇴 연령은 62.7세로 기대치와 큰 차이를 보였다.

◇'자산 부자' 지역 어디?…서울-세종-경기 3대장

3월 말 기준 자산이 전국 평균보다 많은 지역은 서울(7억7825만원), 세종(7억2003만원), 경기(6억2058만원)로 나타났다. 그 다음 순위인 제주(5억1170만원), 대전(4억5554만원) 등과 자산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부채가 평균보다 많은 순서는 세종(1억3936만원), 경기(1억2140만원), 서울(1억1838만원), 인천(9745만원) 순이었다.

부채가 많은 지역 순서는 '소득이 높은' 순서와 얼추 비슷했다.

지난해 기준 소득이 전국 평균보다 많은 순위는 1위 세종(8641만원), 2위 경기(7671만원), 3위 서울(7290만원), 4위 울산(7070만원) 등이었다. 인천(6498만원)의 순위는 5위 대전(6768만원) 다음인 6위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