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밀 재배면적 목표대비 50% 수준…'식량자급률' 제고 미지수

2027년 밀 자급률 8.0% 목표에도 재배면적 목표치 미달

국제 곡물시장 불확실성 증대에 위험 대응 곤란 우려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식량자급률 상승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밀의 재배면적 확대긴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국회 예산정책처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밀 재배면적은 8259ha로 당초 목표(1만5000ha)에 55%를 달성하는 데 그쳤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속적으로 하락했던 식량자급률의 반등을 위해 지난해 12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를 발표했다.


식량자급률은 2017년 51.9%를 이후 하락세를 걸으며 2021년 44.4%까지 떨어졌다. 곡물 자급률은 1990년대 30% 수준에서 2021년 18.5%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쌀은 84.6%로 높은 자급률을 보인 반면, 밀은 1.1%, 콩은 23.7% 등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에 정부는 2027년까지 전체 자급률 55.5%, 쌀 98.0%, 밀 8.0%, 콩 43.5% 달성을 목표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가루쌀·밀·콩 등 전략작물의 대규모 집중 생산체계를 구축해 가루쌀은 2026년까지 20만톤, 밀은 2027년 16만8000톤, 콩은 14만7000톤까지 생산을 확대한다.


비상 시 위기 대응력을 제고하기 위해 쌀의 정부 재고를 상시 확보한다.


밀·콩의 비축물량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7년까지 국산 밀·콩의 매입량을 5만톤, 5만5000톤까지 늘린다.


해외곡물의 안정적 조달을 위해 민간 전문기업의 해외 유통망을 2027년까지 5개소를 구축한다.


문제는 밀의 자급률이 쉽사리 오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55% 수준이던 달성률은 올해도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올해 밀 재배면적은 1만1000ha로 당초 목표 2만ha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2021년에도 1만ha였던 목표를 크게 밑돈 6224ha를 기록한 바 있다.


올해 3.3% 자급률을 목표로 세웠던 목표도 지키지 못할 공산이 커진 셈이다.


예산정책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곡물시장의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식량자급률이 제고되지 않을 경우 곡물 가격 변동 위험에 대응하기 곤란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국제곡물 가격은 흑해 곡물협정이 중단되면서 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주요 생산품목 중 하나인 밀의 국제 선물가격은 협정 중단 이후 톤당 279달러를 기록하며 지난 5월(228달러) 22% 상승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흑해 지역 불안정성에 따른 국제가격 상방 압력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재배를 늘리는 동시에 품질을 상승시키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며 "밀 재배단지를 조성하는 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