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지도 않는 V2L 없다고 테슬라 구박하냐"…이런 보조금 논란 '틀렸다'

배터리로 외부기기 돌리는 기술 탑재시 20만원 추가지원…현대차엔 있고 테슬라는 없어

재생에너지 위한 ESS 역할 가능…자율주행 묶이면 활용도 높아지고 집중호우 단전시 비상 배터리로

 

 테슬라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로 가격을 낮춘 중국 생산 후륜구동 전기 SUV인 '모델Y'를 국내 출시하면서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의 하나인 '혁신기술 적용' 여부가 재조명되고 있다. 모델Y는 이 이유로 일부 보조금을 받지 못할 전망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의 모델Y는 현재 전기차 지원금 지급 대상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17일 설명자료를 통해 "테슬라는 친환경차 보급목표 부여 기업(최대 140만원 보조금)이 아니고, 혁신기술(20만원)도 미적용됐다"며 100% 보조금은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환경부는 전기차 국고 보조금의 차량가 기준을 5500만원에서 5700만원으로 올리면서 혁신기술 적용 여부를 기준으로 추가했다. 환경부가 올해 제시한 혁신기술은 V2L(Vehicle to Load) 기능으로 전기차 배터리의 전력을 끌어다 외부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다.


현재 국내에 출시된 전기차 중 V2L 기능이 적용된 차량들은 현대자동차·기아 모델뿐이다. 이 때문에  이번 후륜구동 모델Y과 관련해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는 "V2L이 무슨 혁신기술이냐" "평소에 사용하지도 않는 기술로 테슬라를 차별한다"는 등 의구심도 일고 있다. V2L은 캠핑을 자주 하거나 차량 내에서 작업을 하는 일이 많지 않으면 큰 효용을 느끼기 어렵기는 하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V2L 기술이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보고 있다. 커지는 지구 온난화 문제로 전기차 보급 만큼 재생에너지 사용 필요성도 커지고 있지만, 재생에너지는 생산의 간헐성이 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선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존재가 필수다. 전기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전기를 저장하고, 전기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전기를 V2L 기술로 내보내면 모바일 ESS 역할이 가능하다. V2L 기술에 보조금을 별도로 책정한 이유다.


여기에 자율주행 기술까지 함께 묶이면 V2L 기능 활용성은 더 커진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3월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전기차 충전을 자동으로 해주는 로봇을 공개한 바 있다. 차량 운행을 하지 않는 시간대에 전기차가 자율주행으로 이동해 로봇을 통해 자동으로 충전하고, 이를 다시 V2L로 내보낼 수 있게 된다.


자동차가 이동 수단에서 거주 공간의 개념으로 바뀌는 것도 V2L 기능이 필요한 이유다. 최근 SUV 판매량이 커지는 등 '큰 차'의 인기가 높은데, 그만큼 차량 내부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각종 전기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V2L 기능의 활용도가 높아진다. 여기에 자율주행 기능으로 운전까지 필요 없게 되면 활용도는 더 커진다.


최근 집중 호우 등과 같이 사고로 전기가 끊긴 경우에는 비상용 배터리로 활용도 가능하다. V2L을 넘어 V2H(Vehicle to Home)로 활용하는 것이다. 실제로 지진이 잦은 일본에서 현대차의 전기차 아이오닉5를 선택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V2L 기능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V2L 기술은 전기차가 에너지를 쓰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를 다른 곳에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 ESS의 개념이 되도록 한다"며 "이번처럼 집중호우가 와서 단전이 되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런 기술의 공급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것을 기준으로 보조금을 책정하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