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퇴사 5년새 2배 이상↑…부산·경남 공공기관 업무공백 우려

 "입사 4년도 못넘겨 그만둔다니"…조직 분위기 저해

"세대 구분 자체가 갈등 조장할 수 있어" 신중론도

 

#부산의 한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A팀장은 최근 인사 교육에 고민이 깊다. 저연차 주니어의 잦은 퇴사로 노하우 전수나 팀원들의 역량 제고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A팀장은 “20~30대의 퇴사가 급증하는 현상은 공공기관 재직자라면 누구나 느끼고 있을 것이다. 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사기업과 달리 공공기관은 시대적 요구에 뒤쳐진 감이 있어 문제를 느껴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딱히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의 한 공기업을 퇴직한 B씨(60대)는 재직 당시 젊은 세대와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다. 업무적으로 필요한 지시를 하려해도 간섭받기 싫어하는 20~30대 직원들은 ‘꼰대’, ‘조직 내 괴롭힘’ 등 여론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평생 직장이라는 개념도 사라진지 오래고, 회사는 단지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여기는 경향이 있어 조금이라도 나은 조건이라면 언제든지 이직할 준비를 하더라”며 “베이비부머 세대가 점차 퇴직하고 2030세대의 인력이 늘어남에 따라 노조나 경영진도 MZ세대를 신경 쓸 수밖에 없다. 오죽하면 회식조차 눈치보며 한다”고 털어놨다.


부산·경남 지역 공공기관의 MZ세대 퇴사가 느는 가운데 저연차 직원들의 잦은 퇴사로 업무 공백과 조직 내 분위기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는 집단보단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고, 조직의 발전보다는 자기 계발에 집중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처럼 이전 세대와는 다른 생각과 생활 패턴으로 이직과 퇴사에 비교적 열린 시각을 가진 20~30대가 조직 분위기를 주도하면서 직장 내 세대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3일 공무원연금공단의 재직년수별 퇴직자 현황에 따르면 입사 4년차 미만 부산·경남권 공직자의 퇴직자 수는 2022년 기준 부산 548명, 경남 562명으로 총 1110명이다. 2018년 464명→2019년 562명→2020년 792명→2021년 942명으로 매해 꾸준히 늘고 있으며, 5년 사이 2배 이상 늘었다. 부산시의 경우 올해 기준, 퇴직자 10명 중 6명이 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연차 주니어의 경우 일을 배우며 다양한 업무를 익힐 시기라, 조직에서도 이들에게 기존 업무에 대한 원활한 인수인계와 새로운 시도를 기대한다. 이에 저연차 퇴직자의 급증은 곧 기본 업무의 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장기적 관점에서 새로운 시각의 부재까지 우려되는 것이다.


부산의 한 공공기관 재직자 C씨는 “공공기관에 지원했다는 건 임금보다는 안정성과 적정한 업무량에 중점을 뒀다는 건데 이들이 퇴사한다는 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이라며 “공공부문 인력 감축, 저연차 동료들의 퇴사가 다시 업무 과중으로 이어지는 악순환도 한몫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직된 조직문화’, ‘과도한 업무’ 등이 사퇴의 이유로 꼽히면서 젊은 세대를 붙잡기 위한 조직 혁신, 업무 환경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반발도 만만치 않다.


부산의 한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D과장은 “지역 공공기관에서는 뒤늦게 MZ세대들을 위한 조직을 구성해 그들의 의견을 제도에 반영하는 등의 시도를 하고 있지만, 앞서가는 대기업에서는 벌써 그들을 MZ세대로 규정짓는 행위 자체를 자제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세대별 특징은 있을 수 있지만 특정 세대를 규정해 그들에게 우호적이거나 적대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오히려 조직 내 세대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신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자기중심적, 개인적인 특징을 가진 MZ세대의 입사가 사회의 큰 이슈가 된 것처럼 이제 조직엔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고 있다. 이들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시니어들과 MZ세대의 소통 창구를 마련하고, 관행적으로 이어오던 구습을 개선하며 조직문화 전체를 진보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