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군 56명 "5·18 암매장 있었다" 증언…유해 12기 발굴

영암 공동묘지·해남 예비군 훈련소·광주교도소 앞 야산

행불자 가족과 DNA 분석 등 신원 확인작업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에 의해 암매장 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가 다수 발굴돼 감식이 진행 중이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16일 '대국민 보고회'를 열고 1980년 5월 광주 희생자 중 '암매장'과 관련한 진상규명 진행상황을 발표했다.

조사위는 광주시와 5·18기념재단으로부터 총 53개소에 달하는 암매장 제보 내용에 대해 사실관계를 조사했다.

또 본인들이 광주 외곽 봉쇄 작전 중에 사망한 민간인 시체 매장을 지시하거나, 직접 실행, 목격했다는 56명의 계엄군 증언에 대해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이중 제보 내용과 계엄군 증언이 중복되는 사례와 지형지물이 완전히 바뀌어 발굴할 수 없는 현장을 제외한 17개소에 대해 지표조사와 유해 발굴을 진행한 결과 총 12기의 유해를 찾아냈다.

9기는 각각 영암 공동묘지 제보 현장 6기, 해남 우슬재 인근 2기, 광주교도소 앞 야산 1기 등이다.

조사위는 지난 14~15일 해남 예비군 훈련소 인근 야산에서 지표조사를 하던 도중 3기의 유해를 추가 발굴했다.

조사위는 해당 현장에 대한 여러 차례의 조사가 있었고, 1988년 국회 청문회, 1995년 검찰 수사과정에서 현장 대대장이었던 장윤태씨의 진술 내용 등을 토대로 선행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 유해들이 5·18 행불자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조사위는 이번에 발견된 유해들에 대한 총상 여부, DNA 분석 등을 정밀 감식하고 있다.

조사위 관계자는 "해남에서는 해남 우슬재, 홍상면 덕평리, 마산면 산등리 등에 대한 방위병들의 암매장 현장 증언이 다수 있었다"면서 "나주, 영암, 목포, 해남, 강진, 완도, 진도지역 등의 행방불명자 유족들을 대상으로 신원 확인 작업을 진행하는 등 정밀감식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사위는 발굴한 총 12기 유해의 유전자 검사를 실시, 행방불명 유가족과 대조한 뒤 올 하반기 종합적인 최종 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또 조사위는 각종 제보와 증언을 분석한 점을 토대로 암매장 추정지 30개소 가운데 6개소에 대한 암매장 발굴이 불가피하다고 결론 내렸다.

조사위 관계자는 "진압작전 현장에서 사망했거나 실종된 후 그 유해조차 찾지 못했던 행방불명자들의 소재도 일부 확인했다"며 "진실을 밝히고 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하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조사 활동 마무리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