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때 韓여성 미군 위안부로 성착취…정부는 방조·장려" -NYT

NYT "10대 여성들 납치되거나 강제로 성매매 산업 종사"

대법원 "정부가 외화발이 위해 매춘 정당화" 유죄 판결


한국전쟁 때 참전한 뒤 한국에 주둔한 미군을 상대로 성매매업에 종사한 한국 여성들의 사연을 미국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스(NYT)가 소개했다.

NYT는 '미군을 위한 잔혹한 성매매'라는 제하의 2일자 기사에서 미군을 대상으로 한 성매매 산업이 한국 정부 주도로 이뤄졌으며, 그 과정에서 어린 10대 여성들이 납치당하는 등 강제로 성매매 산업에 종사하게 된 사연을 소개했다.

A씨는 불과 열일곱살 때 남자 3명에게 납치당했고, 경기도 북부의 동두천에 있는 포주에게 팔렸다. A씨는 고등학교에 막 진학하려던 시기였으나 장장 5년간 포주의 감시 하에 미군을 상대로 성매매를 해야 했다. 발레리나의 꿈도 접어야 했다.

열여섯 살이던 1975년 포주에게 팔려 간 B씨는 "우리나라는 미국과 동맹으로서 손잡았고, 미군들은 우리를 돕기 위해 이곳에 왔다"며 "그렇다고 그들이 우리에게 원하는 걸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올해 77세인 C씨는 혼혈아에 대한 차별을 우려해 수 차례 낙태를 했다고 회고했다. C씨는 떨리는 목소리로 "미군과 사실혼 관계로 살다가 버려져 아이와 함께 버려진 뒤 극단적 선택을 한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열린 한국 내 기지촌 미군 '위안부' 국가손해배상청구소송 대법원 선고 판결 기자회견에서 원고인 김 모씨가 눈물을 훔치고 있다. 2022.9.29/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이 매체는 '위안부'가 2차 세계대전 동안 일제에 의해 성노예로 강제로 끌려간 한국인 등 다른 아시아 여성들을 묘사하는 단어라고 소개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가 1945년에 끝난 이후에도 한국에서는 또 다른 여성 집단에 대한 성적 착취가 계속됐고, 이는 정부에 의해 촉진된 것이라고 NYT는 설명했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군을 위한 특수 위안부 조직이 있었고, 미군이 주도하는 유엔군을 위한 위안소도 있었다고 한다. 이곳에서 일하던 이들은 전쟁이 끝나고도 상당수가 미군부대 주변에 지어진 기지촌, 즉 '캠프타운'(camp town)에서 일했다.

NYT는 한국 매체들이 기지촌 여성들을 "불법적이고 암적인 필요악"이라고 비판하면서도 "달러를 벌어들이는 일에서는 최전선에서 일하는 역군"이라고 치켜세우기도 했다.

A씨는 "우리를 애국자라고 부르던 관리들은 '달러 버는 기계'라며 우리의 등 뒤에서 비웃음을 흘렸다"고 말했다.

기지촌은 매춘과 성범죄, 암시장의 온상이 됐다. 1973년 미군과 한국 관리들이 기지촌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만났을 때, 미군은 자국 군인들이 기지촌에 가는 걸 통제하기보다는 기지촌 여성들을 대상으로 성병 검사를 하고 감염자를 격리하는 등 관리에 나섰다.

성병에 감염되거나 감염자와 접촉한 여성들은 철창이 달린 시설에 수용됐고 페니실린을 다량 복용했다. NYT는 인터뷰한 여성들이 페니실린 쇼크로 쓰러지거나 사망한 동료들을 떠올리며 수용 시설을 두려운 장소로 기억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대법원은 지난해 7월 기지촌에서 일하던 여성 100명의 제기한 소송에서 한국 정부가 외화 벌이를 위해 기지촌의 매춘을 정당화하고 장려한 점에 유죄 판결을 내렸다. 그리고 원고에게 300만~700만원씩 배상해야 한다는 원심을 확정했다. 그러나 이 돈은 생계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못했다.

NYT는 "한국은 한미동맹 등을 의식한 것인지 기지촌 여성들의 이야기에 결코 동의하지 않았고, 이 주제는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논의보다 훨씬 금기시돼 왔다"며 "1992년 미군에게 잔인하게 성폭행당하고 살해된 윤금이 사건 이후에야 기지촌의 성착취 문제에 관심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 매체는 "기지촌들은 한국의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몰락하고 있다"며 "전직 기지촌 여성들은 미국에서 소송을 제기하기를 원하지만, 그들이 어떤 법적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