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특수 웬 말' 공공요금 인상에 폐업 내몰리는 목욕탕·식당

올해만 서울 목욕탕 68개 문 닫아…"가스 13%·전기 15%↑, 폐업 고민중"

내년 전기·가스 요금 2배 인상…"대비책으로 공공기금 마련해야"

 

# 경기 남양주시에서 찜질방을 운영하는 이모씨는 고지서를 받을 때마다 시름이 깊어졌다. 그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손님이 급격히 줄어든 상황에서 입장료는 기껏해야 1000원 올랐다"며 "설상가상으로 가스요금과 전기세까지 오르니 더이상은 못 버티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겨울철 한파가 불어닥친 상황에서 올해 들어서만 전기·가스요금이 세 차례 오르면서 목욕탕, 식당 등 자영업자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해제됐지만 연말 특수가 미미한 데다 내년도 추가 요금 인상 가능성도 남아 있어 이들의 경제 부담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올해만 서울 목욕탕 68개 문 닫아…"가스비 13%·전기세 15%↑, 폐업 고민중"

코로나 팬데믹 직격탄을 맞은 목욕탕의 경우 '위드코로나' 이후 맞은 첫 겨울 특수를 기대했지만 현실은 폐업을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우나찜질방연합회 사무총장이기도 한 이모씨는 "올해 들어서만 평균 가스비는 13%, 전기세는 15% 증가했다"며 "업종 특성상 사람이 적게 온다고 요금이 적게 나오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영업을 계속할지 고민하는 업주가 늘어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시 목욕장업 인허가 정보에 따르면 실제 올해 문을 닫은 68개 업장 중 30%가 20년 넘게 운영한 곳들이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인 2020년과 2021년 92곳, 81곳이 각각 문을 닫을때도 버틴 곳들이 한계에 봉착한 것으로 보인다. 

이씨는 "서민들이 가는 목욕탕이라는 이유로 우리는 일본의 절반 가격인 9000원~1만원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를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가격현실화를 고려해줘야 한다"고 호소했다.

오른 전기·가스요금에 시름하는 곳은 목욕탕뿐만이 아니다. 기대한 연말 특수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식당도 늘어나는 고정비용에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서울 종로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A씨는 이번 겨울 고지서를 받을 때마다 시름이 깊어졌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18만~20만원 나오던 가스비가 이제는 30만원이 훌쩍 넘고 30만원 수준이었던 전기요금은 40만원을 넘어 50만원에 육박하기 때문이다. A씨는 "코로나19가 끝나는 분위기더라도 매출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았는데 고정비용만 오르니 고민이 깊어진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미 올해에만 두 차례 가스요금을 올린 정부는 지난 10월 음식점, 미용실, 숙박시설 등에 적용되는 '가스 요금(영업용1)'은 16.60원에서 19.32원으로, 목욕탕이나 쓰레기 소각장 등에 적용되는 '가스 요금(영업용2)'도 15.60원에서 18.32원으로 각각 16.4%, 17.4% 인상했다.

전기요금은 4, 7, 10월 세 차례에 걸쳐 kWh당 전력량요금 2.5원, 기준연료비 9.8원, 기후환경요금 2.0원, 연료비조정요금 5.0원씩이 올라 모두 19.3원 인상했다.

◇정부, 내년 전기·가스 요금 2배 인상 예고…상인측 "대비책으로 공공기금 마련해야"

내년 전망은 더 암울하다. 정부가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의 누적 적자·미수금을 2026년까지 완전 해소하기 위해 내년부터 전기·가스요금을 단계적으로 현실화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아직 구체적인 인상폭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산업부가 국회에 제출한 한전 정상화 방안을 보면 전기요금은 2배 이상 오를 것으로 보인다.

서울 주요 상인회는 정부가 요금 인상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현재 기금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 상인회 관계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가스요금 등을 올릴 수밖에 없는 정부의 현실은 인정하지만 힘든 것은 현실"이라며 "상인들은 지금 당장도 힘들기 때문에 아직 뚜렷한 대책도 세우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용산구 상인회 관계자는 "이태원 참사 이후 상인회가 행사도 못하는 상황이다 보니 연말 손님들이 더 없는 상황"이라며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상인들도 있는 상황에서 내년도 인상안은 현재 고려할 처지가 못 된다"고 했다.

외국처럼 공공기금을 마련해 갑작스러운 요금인상으로 어려워지는 상인들을 도울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외국의 경우 에너지 요금이 인상될 것을 우려해 에너지 세금을 걷고 그 돈으로 취약계층이 어려워질 경우 지원해줄 수 있는 공공기금을 마련한다"며 "우리도 문제를 직면하고 나서야 우대 수수료 방안 등을 무리하게 꺼낼 것이 아니라 미리 기금을 마련해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