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수 SM 대표, 이수만 역외탈세 의혹 제기 "해외판 라이크기획 'CTP' 통해"

 이성수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 공동대표가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역외탈세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성수 대표는 16일 오전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고 1차 성명문을 발표했다. 해당 영상에서 이성수 대표는 최근 'SM 사태'가 불거진 과정에 대해 설명했고, 해외판 라이크기획이라며 'CTP'의 존재도 알렸다.

이성수 대표는 이날 성명에서 "이수만(전 총괄)은 지난 2019년 홍콩에 CT Planning Limited 라는 회사를 자본금 100만 미국 달러로 설립했다"라며 "CTP는 이수만의 100% 개인회사로서, '해외판 라이크기획'"이라고 말했다. 

이성수 대표는 "SM은 2019년 이후 웨이션브이, 슈퍼엠, 에스파의 글로벌 음반-음원 유통과 관련하여 각각 중국의 애사애몽, 미국의 캐피톨 레코즈, 워너 레코즈 등과 계약을 체결했다"라며 "이때 기존의 프로듀싱과 하는 일은 똑같은데, 계약의 구조만 해외 레이블사와 CTP를 거치면서 기형적으로 바꿨다, 웨이션브이, 슈퍼엠, 에스파는 SM에서 모든 콘텐츠를 제작하기에 일반적인 경우라면 SM과 해당 레이블사가 서로 간의 수익정산을 먼저 하고, 그 후 SM에 정산된 금액에 대하여 라이크기획, 즉 이수만(전 총괄)이 6%를 지급받으면 된다, 하지만 이수만(전 총괄)은 각 레이블사와 따로 계약을 맺을 것을 지시, SM과 레이블사 간의 정산 전에 6%를 선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러한 이상한 구조가 생긴 것에 대해 "SM과 라이크기획의 계약은 2014년에도, 2021년에도 대한민국 국세청으로부터 그 정당성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고, SM은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수십억 그리고 수백억의 세금을 납부해야만 했다"라며 "CTP는 이수만(전 총괄)이 한국 국세청의 감시망을 피하기 위한 회사로, 전형적인 역외탈세에 대한 의문이 든다"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또한 이 대표는 훨씬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이와 같은 구조를 글로벌로 광범위하게 적용해서, 해외에서 프로듀싱 로열티를 선취하려는 시도와 지시는 최근까지도 계속 있어 왔다"라며 "이 CTP라고 하는 회사는 라이크기획이 아닌 별도의 해외법인이기에, CTP와 해외 레이블사 간의 앞선 계약들은 지난해 연말에 종료된 SM과 라이크기획 간의 프로듀싱 계약과는 전혀 무관하게 지금도 살아 있고,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심각성을 알렸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하이브와 이수만(전 총괄)의 주식매매계약에 따르면, 이수만(전 총괄)의 국내 프로듀싱은 3년 간 제한되어 있지만, 해외 프로듀싱은 전혀 제한이 없다"라며 "하이브는 '이수만의 해외 개인회사인 CTP'의 위법요소를 알고도 동조하거나 묵인한 것일까, 아니면 모르고 계약한 것일까, 만약 모르고 계약했다고 한다면 1조원 이상의 메가딜을 진행하면서 실사조차 진행하지 않아서 이런 중요한 사항을 놓치게 된 점을 본인들의 주주들에게, 임직원들에게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재차 의문을 제기했다.

한편 이수만 SM 전 총괄 프로듀서-하이브 측 연합 측과 이성수 탁영준 SM 공동대표의 현 경영진-카카오-얼라인파트너스 연합 측은 현재 SM의 경영권을 놓고 대립하고 있다.

지난 10일 하이브는 SM 창업자이자 최대주주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가 보유한 SM 지분 18.46% 중 14.8%를 4228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하이브는 SM 단독 최대주주가 됐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연예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