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2일 (일)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1% 부자들이 전세계 자산 48% 갖고 있다



크레디트스위스 은행 보고서…3,750달러면 상위 50%안에 들어
소득대비 자산 비율 증가는 경기침체 경고신호 

 
전 세계 최상위 부유층 1%가 글로벌 자산의 절반에 가까운 48%를 소유해 부의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난한 하위 50% 인구가 소유한 자산총액은 세계 자산의 1%에 불과했지만, 상위 10%가 차지한 자산 비중은 87%에 달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14일 전 세계 부의 흐름을 추적한 크레디트스위스 은행의 2014년 연례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은 분석 내용을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가운데 잘사는 절반 그룹에 들기 위한 기준 자산액은 3,650 달러에 불과했다. 하지만 상위 10% 자산가 대열에 들려면 77,000달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으며, 상위 1%에 진입하기 위한 자산기준은 798,000달러로 상승했다.  

잘사는 나라의 실정에 비춰 상위 자산가 기준금액이 높지 않은 것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의 절대빈곤층이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계 인구가 소유한 올해 글로벌 자산 총액은 263조 달러로 지난해에만 201,000억 달러가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2000년의 117조 달러보다 2배 이상 커진 것으로 금융위기 이전보다는 20%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의 지난해 자산 증가액은 123,000억 달러로 경제위기 때 증발한 규모와 대등했다

또 주요 7개국(G7) 가운데 2000년 이후 빈부격차가 확대된 나라는 영국이 유일했으며, 2007년 이후로는 영국 외에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도 부의 편중 현상이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 최고 부자 85명이 전 세계 빈곤층 인구 35억 명의 재산 총액 수준의 자산을 독점한다는 구호단체 옥스팜의 기존 보고서와 맞물려 빈부격차 심화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보고서는 이밖에 세계 최대의 경제권인 미국을 중심으로 소득 대비 자산비율이 상승하는 현상을 들어 경기 침체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미국의 자산ㆍ소득 대비율은 1999닷컴 거품시기와 경제위기 직전인2005~2007년에 6까지 상승했는데 현재는 대공황기 직전의 수준인 6.5에 달해 경기침체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757  758  75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