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2일 (일)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보훈처, '임~행진곡' 합창 유지…"청와대 지침 없다"



<국가보훈처가 오는 18일 열리는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공식식순에 포함해 합창단이 합창하고 원하는 사람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기로 했다. 국가보훈처 최정식 홍보팀장이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보훈처 입장을 밝히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6.5.16/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보훈처 "광주만의 5.18 운동 아니다…가장 합리적인 방법"

올해 5·18 기념식에서도 '임을 위한 행진곡'이 합창으로 불릴 예정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의 핵심은 기념곡으로 지정과 합창이 아닌 제창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지만 정부는 두 가지 모두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국가보훈처는 16일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제창과 관련해 찬성과 반대 논란이 2016년 현재까지도 해소되지 않고 있어 정부 입장을 전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공식 식순에 포함해 기념공연으로 합창하는 기존의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공식식순에 포함시켜 제창이 아닌 합창단이 합창하도록 하되 원하는 사람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는 것이다. 

보훈처는 "정부에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본 행사인 기념공연에서 합창단이 합창하고 부르고 싶은 사람은 따라 부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부르지 않을 수 있도록 '참석자 자율의사'를 존중하는 것이 논란을 최소화하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5·18 정신으로 국민화합 꽃피우자'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기념식은 유족과 사회 각 분야 대표 시민, 학생 등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식 △국기에 대한 경례 △애국가 제창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과 5·18 민주화운동 희생영령에 대한 묵념 △헌화 및 분향 △경과보고 △기념사 △기념공연 합창: 임을 위한 행진곡 △폐식 등으로 진행된다. 

이와 관련, 최정식 보훈처 홍보팀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정부 기념 행사는 과거 1997년 이전의 광주만의 5·18 민주화운동이 아니다"라며 "보훈처는 지난 3일간의 논의를 통해서 논란을 해소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최 팀장은 "정부기념일로 제정한 것은 온 국민의 5·18 민주화운동으로 승화시키기 위한 방법"이라며 "자칫 임을 위한 행진곡에 대한 본질보다는 다른 논란이 더더욱 더 커지는 부분이 있지만 보훈처는 앞으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5·18 정신을 기리고, 국민 통합에 기여하는 기념식을 만들도록 보다 더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최 팀장은 이같은 보훈처의 결정에 청와대의 지침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직접 지시나 지침이라는 건 없었다"고 강하게 부인했다. 

최 팀장은 "대통령의 발언은 국론분열을 막을 수 있는 좋은 방안을 논의해 보라고 하신 것이 현재까지 다이고, 거기에 따라 지난 3일 동안 수많은 논의를 거쳐서 현행 방식대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별도의 지침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보훈처는 지난 13일 박근혜 대통령이 여야 3당 원내지도부를 만나 자리에서 야당의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 요구에 "국론 분열이 생기지 않는 좋은 방안을 찾아보라고 보훈처에 지시하겠다"고 언급한 이후 지난 3일간 회의를 열고 이 문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고 설명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민주화운동이 1997년 정부기념일로 제정된 이후 2008년까지는 정부 기념식에서 모든 참석자가 '제창'하는 형식을 따라왔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첫 해였던 2008년 기념식 직후 보훈·안보단체에서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노래"라며 문제를 제기해 2009년부터 합창단이 부르는 합창으로 대체되고 참석자들이 따라 부르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이에 5·18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들은 정부의 제창 금지에 반발해 아예 행사를 따로 갖거나 민주묘지 입구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등 갈등이 계속돼왔다.

지난해에는 국가보훈처가 제창은 금지한 채 합창단만 노래를 부르도록 했으나 노래가 시작되자 여야 대표들이 자리에서 일어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했다. 

그러다 올해 기념식에는 지난 13일 박 대통령의 발언으로 제창 허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으나 보훈처는 끝내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

최 팀장은 "보훈처가 찬성과 반대 어느 한쪽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은 절대로 아니다"며 "정부기념행사라는 것을 국민 통합을 위해 각계각층이 참석해 원만하게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이 바로 국가보훈처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기념곡 지정 문제에 대해서도 "현재 애국가조차도 국가로 지정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최 팀장은 "기념곡 지정에 관한 법령이 아무 것도 없는 현 상황에서는 자칫 '임을 위한 행진곡'이 대한민국 기념곡 1호가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또 다른 논란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해 전 국민이 수긍할 수 있는 전국적인 여론조사를 보훈처 차원에서 실시할 계획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행사전에는 이런 문제가 많이 얘기가 되지만 막상 행사가 끝나면 논의 하는 자리에 참석을 한다거나 그렇지는 않는 것 같다"며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고 만약 정치권에서 (여론조사 추진) 있다면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문제로 2년간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았던 부상자회와 유족회 등 5·18 민주화운동 관련 3개 단체가 올해 기념식에는 모두 참석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5·18 정신을 기리고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기념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제36주년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은 18일 오전 10시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개최된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56  557  55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