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2일 (일)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e톡톡]우리 애도 스마트폰 중독?…유아가 더 심각



유아(만3~5세)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성인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누리꾼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15일 발표한 ‘2015년 스마트폰·인터넷 과(過)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만20~59세)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군은 2.1%지만 유아는 2.5%로 성인보다 0.4% 포인트 높았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지난해 9~10월 전국 만3~59세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했다. 만3~9세의 유아나 아동을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스마트폰 금단현상 △내성 △일상생활장애 등 세 가지 증상을 모두 보이면 고위험군으로, 그중 1~2개 증상을 보이면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으로 분류했다. 

유아나 아동 가운데 스마트폰 이용자 고위험군 비율은 1.7%, 잠재적 위험군은 10.7%였다. 그중 유아의 고위험군 비율이 2.5%로 아동(만6~9세)의 1.6%보다 0.9%포인트 높았다. 스마트폰에 중독되는 나이가 갈수록 어려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정부는 스마트폰 중독을 막기 위해 미래부 등 9개 부처 합동으로 예방대책을 마련했다. 유아들의 눈높이를 고려한 인형극·연극 등을 통해 유치원,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매년 6만명 규모로 예방교육을 하기로 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밥상머리 인터넷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해 부모와 자녀 간 올바른 소통과 인터넷 과다 사용에 따른 문제 해결을 돕는다. 

누리꾼의 반응은 "어쩔 수 없다"와 "유아 스마트폰 노출 심각하다"로 나뉘었다.

누리꾼 'shs2**** '는 "식당에서 밥 먹을 때 말 안 듣고 자꾸 뛰어다녀 민폐 끼치면 스마트폰 보여주는 게 서로 이득이다. 안 줄 수가 없다"며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누리꾼 'wjle****'는 "어른들이 아이를 달래려고 스마트폰 보여주는 것이 문제"라며 부모의 책임이라 말했다.

누리꾼 'baum****'은 "부모들 편하겠다고 공공장소에서 스마트폰으로 만화 틀어주지 마라. 시끄럽다"며 불만을 제기했다.

누리꾼 'anik****'는 "애들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 주면 민폐 끼친다고 뭐라 하고 조용히 하라고 스마트폰 보여주면 못난 부모 취급한다"며 아이 키우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56  557  55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