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1일 (토)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서강대 남양주캠퍼스 놓고 총장-이사회 '갈등심화'



총장 "재정난 타계" vs 이사회 "위험한 발상"
학내소통· 기금전용 논란까지



남양주 제2캠퍼스 건립 문제를 둘러싸고 서강대학교 학교 본부와 학교법인 이사회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이사회 측은 유기풍 총장이 퇴임을 약 5개월 앞두고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 반면, 유 총장은 이사회의 승인 아래 2009년부터 추진된 사업을 이사회가 억지를 부려 반대한다고 주장한다. 

서강대학교 법인 이사회는 지난 7월 남양주캠퍼스 건립을 위해 교육부에 제출해야 하는 대학위치변경 계획서 제출에 관한 안건을 부결했다. 

이사회는 남양주시 및 민간 사업자로부터 받은 자금 추가 지원에 대한 구두약속만 믿고 사업을 진행시킬 수 없고, 학내 구성원들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이에 유기풍 총장과 이장규 남양주캠퍼스 설립기획단장(대외부총장)등은 반발했다. 유 총장 등은 이사회의 승인 아래 2009년부터 추진한 남양주캠퍼스 건립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는데 이를 이사회가 무산시켜 수백억원의 손해배상을 당할 위기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급기야 19일 가톨릭 수도회인 예수회 로마 총원장인 아돌포 니콜라스 신부에게 탄원서를 보내 "이사회가 파행적인 학교 운영을 하고 있다"며 로마 총원의 조치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유 총장은 이사회가 남양주캠퍼스 사업을 반대하는 이유는 전문성이 결여된 예수회 신부들의 파행적인 학교 운영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갈등의 핵심 요인 '재정'

남양주 제2캠퍼스 건립 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핵심 요인은 재정이다.

유기풍 총장은 동문들이 약정한 340억원과 남양주시가 약속한 땅값 면제 375억원, 현금 지원 125억원 등의 추가지원 등으로 이사회가 지시한 약 900억원의 지원금을 확보했다고 주장한다.

또 남양주 제2캠퍼스 건립으로 7년째 이어지고 있는 서강대의 적자 문제를 교지확보률이 100% 이상일 경우 생기는 수익용 자산전용 혜택과 편입생 모집 정원 확충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기업과 연계한 산하 연구기관 설립으로 임대료, 로열티 등의 부수적인 수입까지 챙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사회 측은 유 총장이 확보한 기금은 남양주시와 민간사업자의 확약을 받지 못한 사안으로 불확실한 '약정'과 '구두약속'만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사회는 남양주시장이 구두로 약속한 추가 지원에 대해 법적 구속력이 있는 확약을 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일 남양주시의회의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남양주시로부터의 지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민간사업자 투자를 유치해 그들이 얻은 개발 이익을 학교에 재투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부동산 경기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자금조달에 실패할 경우 본교까지 부도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고 판단했다. 유기풍 총장의 모험적인 사업 추진이 학교의 존망까지 연결될까 우려된다는 것이다. 

학생 수가 줄어들고 수도권 정원 동결 정책 등으로 등록금 수입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사업을 확장하기보다 내실을 다져야한다는 게 이사회의 입장이다.

◇유 총장 소통 부재·기금 전용 의혹

교수협의회는 재정 적자가 심화되고 구성원간의 명확한 협의가 없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하는 유 총장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일부에선 유 총장의 고향이기도 한 남양주 제2캠퍼스 후보지 인근에 벌써부터 땅투기가 이뤄져있어 캠퍼스 이전이 투기꾼들에게 휘둘리는 사건으로 비화할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   

교수협의회는 지난달 31일 성명서를 통해 "8월23일 남양주캠퍼스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비상 교수회의에서 본부 측은 서강의 위기를 타개할 방법은 남양주캠퍼스라는 주장만 되풀이할뿐이었다"며 "교수단은 본부 측의 정보전달 부족과 소통 부재에 대해 비판했다"고 밝혔다. 

이어 "학교 측이 재정 투자 계획과 정원 이동 규모, 교육내용에 이르기까지 기본협약부터 모든 합의 내용을 제대로 밝힐 것"을 요구했다. 

더불어 이사회는 이전 대상자인 공과대학이 이전을 반대하고 있어 정원 이동 계획에 대한 학교 구성원간의 명확한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도 반대 이유로 들었다. 

이화여대, 건국대 등 학교가 파주와 의정부에 각각 캠퍼스를 설립하려 했으나 취소했고 연세대 송도캠퍼스도 공과대가 아닌 교양학부가 들어가는 상황에서 굳이 서강대만 무리하게 캠퍼스 이전을 추진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남양주제2캠퍼스 건립과 더불어 유기풍 총장이 학교 목적기금을 전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총장과 이사회 간의 불신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사회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학교 측이 지난 1월 이사회가 사업의 재정적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 꾸린 TF팀에 제출한 예산보고서를 통해 유 총장이 목적기금 148억원을 전용한 것이 확인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관계자는 이어 "학교 측이 재정 상태를 제대로 보고하지 않아 재단은 사태의 심각성을 나중에 알게 됐다"며 "전용 부분에 대해 재단이 특별회계감사를 벌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유 총장은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다"며 "기금 전용은 총장 책임이 아니라 이사회의 책임"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14  515  5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