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3일 (월)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경기도 인구, ‘1300만 돌파’…‘국민 4명중 1명 경기도민’



8월말 현재 1301만9877명…서울 등서 유입 원인 가장 커
시군, 수원 123만여명 1위…고양, 용인 순



경기도 인구가 1300만명을 넘어섰다. 


27일 경기도가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인구와 법무부의 등록외국인 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말 기준 경기도 인구는 내국인 1264만9894명, 외국인 36만9983명 등 총 1301만9877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8월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5279만2070명으로, 국민 4명 중 1명이 경기도에 살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 인구는 2002년 12월 1000만명을 넘은 이후 14년만에 300여만명의 인구가 늘어났다. 하루 평균 605명씩 늘어난 셈이다.

서울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한 1967년(309만797명)과 비교시 1000만명의 인구가 증가했다.  

이같이 경기도 인구가 크게 증가한 데는 출산 등에 따른 자연적 증가보다 서울 등 다른 지역의 인구 이동에 따른 사회적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03년부터 2016년 6월까지 경기도의 자연적 증가 인구는 94만8209명이었지만 사회적 증가 인구는 160만9930명으로 66만1721명이나 많았다. 

지역별 순유입(전입-전출) 인구는 서울시가 139만782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산 6만289명, 경북 5만6780명, 대구 5만2284명 순이다. 

반면 경기도에서 다른 지역으로 가장 많이 순유출(전입-전출)된 지역은 충남으로 5만4616명에 달했으며, 인천 2만1859명, 세종 2만1558명, 충북 1만7538명, 제주 1만4198명 등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서울시 인구가 대거 이동한 이유로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택가격과 신도시 개발호재, 교통망 확충 등을 꼽았다.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교통 여건이 나쁘지 않으면서도 주거비용이 낮은 경기도로의 이동이 많았다는 분석이다. 

경기도내 사업체 수가 늘어난 것도 인구 이동의 한 원인으로 지적됐다. 

일자리를 찾아 경기도로 이동한 인구가 많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경기도내 사업체는 2002년 54만754개에서 2014년 81만260개로 26만9506개나 늘었다.

한편, 시군별 인구수는 수원시가 122만77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양시 104만6502명, 용인시 100만945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천군은 4만6958명으로 가장 적었으며, 가평 6만3756명, 과천 6만6328명 등으로 집계됐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511  512  5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