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3일 (월)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朴대통령, 원로·친박 퇴진요구에 '경청모드'…결단 임박?



2일 탄핵의결 이전, '퇴진 결단' 임박 분위기도
靑 "퇴진, 논의한 적 없다"지만 박심 바라보는 상황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각계 원로의 퇴진 권유에 이은 28일 친박(親박근혜) 중진들의 '질서있는 퇴진' 건의에 대해 '경청모드'를 유지하며, 고민에 빠진 모습이다. 


이와 관련 이르면 2일 국회의 탄핵 의결을 앞두고 박 대통령이 대국민담화 등을 통해 수용 여부에 대한 자신의 결단을 밝힐 것으로 관측된다. 

박 대통령이 당장이라도 결단할 수 있다는 분위기도 일각에서 감지된다. 

정연국 대변인은 28일 박 대통령이 내년 4월까지 하야해야 한다는 전직 국회의장을 비롯한 각계 원로들의 제안에 "여러 의견들을 경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29일에도 친박 핵심 중진들의 전날 박 대통령 '명예 퇴진' 건의에 대해 "여러 말씀들 경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이 각계 원로·친박 중진들의 '퇴진 권고'를 일축하지 않고 "경청하고 있다"는 언급을 되풀이하며 그 가능성을 열어 놓자 청와대에서 박 대통령의 '명예퇴진'을 놓고 물밑 논의를 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정 대변인은 또한 '임기 단축이나 하야와 관련해선 입장 변화가 없나'라는 질문에 "거기에 대해선 대통령이 더 말씀하신 게 없잖나"고 언급, '명예로운 퇴진' 고려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았다.  

하지만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전날(28일) 뉴스1과 통화에서 "대통령의 퇴진은 참모들이 논의한 적도 없고,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고 이 같은 관측을 일축했다. 

청와대로선 박 대통령의 위법 사실이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특검·탄핵 절차를 거치지 않고 퇴진을 먼저 논의한 데 대한 불쾌감도 감지되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20일 검찰이 공소장에서 박 대통령을 '공모 피의자'로 규정하자 "차라리 헌법상·법률상 대통령의 책임 유무를 명확히 가릴 수 있는 합법적 절차에 따라 하루빨리 이 논란이 매듭지어 지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국회의 탄핵이 가결될 가능성이 높고 헌재가 국민정서를 감안해 탄핵안을 인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설득력을 더해 가면서, 박 대통령의 퇴진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는 형국이 되고 있다. 

탄핵 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탄핵을 통해 물러나는 것 보다는 개헌을 전제로 '임기단축'을 통해 물러나는 게 낫다는 논리다. 

특히 친박계가 박 대통령의 명예 퇴진을 언급한 점을 놓고 박 대통령의 의중이 다소 담겨 있는 게 아니냐는 일각의 해석도 나온다. 

개헌을 고리로 한 '임기단축'은 박 대통령으로선 명예롭게 물러날 수 있다는 의미을 지니고 있어 청와대 안팎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한 박 대통령이 차기 대선까지 이어지는 국정공백을 놓고 '결단'을 내리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박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이후 40일째 수석비서관회의나 국무회의를 주재하지 못하고 있고, 박 대통령의 외부일정도 지난달 27일 이후 한 달이 넘게 중단된 상황이다. 앞으로 탄핵이후 헌재 결정까지 짧게 잡아 5~6개월이 걸릴 것으로 관측된다.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기는 하겠지만 대통령 없는 국정공백 상황을 우리 국민이 6개월을 더 버텨야 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박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서 '퇴진의 용단'을 내릴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정 대변인이 각계 원로·친박 중진들의 '질서있는 퇴진'에 대해 '경청하고 있다'며 그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싣고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487  488  48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