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3일 (월)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9일 탄핵 갈림길…딜레마속 '비박' 어디로?



야3당 9일 탄핵의결 합의 속 비주류 의견 엇갈려



야권의 탄핵 공세가 갈수록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 비주류는 곤혹스러워 하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은 9일 탄핵안 의결을 합의한 가운데, 국민의당은 3일 본회의 도중 탄핵안을 발의했다. 

이에 따라 탄핵안은 8일 본회의에 보고된 이후 9일 표결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4월 퇴진과 6월 조기 대선을 당론으로 정했다. 당초 박 대통령의 탄핵을 주장했던 비주류도 일단 여야 합의를 통한 대통령 퇴진 시기 결정에는 뜻을 같이하고 있지만 각론을 두고 이견이 흘러 나오는 등 단일대오에는 금이 간 상태다. 

여기에 박 대통령 스스로도 자신의 사퇴 시기와 방법을 국회에 일임하면서 사실상 탄핵 처리에는 반대 입장을 밝히는 등 비주류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 지고 있다. 

비박계 내부에서는 탄핵과 2선 후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주장과 박 대통령이 스스로 퇴진 여부를 결정한 만큼 탄핵 논의를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당내 비주류가 주축인 비상시국위원회는 오는 7일 오후 6시까지 대통령 퇴임 일정 등 입장을 발표를 요구하면서 데드라인을 제시했다. 

만약 여야 협상이 결렬되거나 이날까지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없을 경우 야권의 요구대로 9일 탄핵에 동참하겠다는 뜻이다. 

이는 박 대통령이 탄핵에는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에서 여야 협상이 결렬 돼 탄핵안이 상정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보인다.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그 책임은 결국 탄핵을 주장하다 입장을 선회하는 모습을 보인 비주류가 고스란히 뒤집어 쓰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비주류는 친박계가 주장하는 4월 퇴진론에 끌려가는 모습을 보이면서 이후 행보 역시 동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유승민, 정병국 의원 등은 박 대통령이 사퇴 시점을 밝히고 즉각 2선 후퇴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약 여야 합의가 실패하거나 즉각적 2선 후퇴가 없을 경우 탄핵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여권 내에서 가장 먼저 탄핵 카드를 꺼내든 김무성 전 대표는 일단 여야 합의를 해야 하고, 만약 여야 합의가 안될 경우에도 이미 박 대통령이 사퇴를 선언한 만큼 곧장 탄핵 절차에 착수할 것인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탄핵에서 발을 빼겠다는 뜻이다. 

만약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김 전 대표가 고스란히 떠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여기에 친박계는 대통령 즉각 2선 퇴진에 대한 뚜렷한 입장을 드러내지 않으며 사태를 관망하고 있어 비주류의 입장은 더욱 난처해지고 있다. 

결국 다음주 초로 예상되는 박 대통령과 비주류 의원들과 면담이 탄핵 국면의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이 '2선 후퇴' 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낼 경우 탄핵파와 반대파들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비주류의 혼돈은 더욱 삼화 될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484  485  48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