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3일 (월)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언론단체, 故 김영한 전 수석 비망록 속 언론통제 폭로



<김환균 전국언론노조위원장이 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故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비망록 주요 내용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16.12.02/뉴스1 © News1 이동원 기자>


'정윤회 문건' '산케이 보도'에 구체적 지시



박근혜 정부가 비판적인 언론을 통제하고 문화계 인사의 동향을 파악하는 등 언론통제와 검열에 나섰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언론노동조합 등 언론단체는 2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고(故) 김영한 전 민정수석의 비망록에 드러난 박근혜 정권의 언론통제 및 문화검열 정황을 폭로했다.

언론노조가 공개한 김 전 수석의 비망록에는 영(領)으로 표기된 박근혜 대통령과 장(長)으로 표기된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언론대응 지침이 구체적으로 나와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2014년 11월 세계일보의 이른바 '정윤회 문건' 보도에 대한 정부의 대응방안이다. 

언론노조에 따르면 당시 정부는 '세계일보 공격방안'을 세운 뒤, 언론사 윗선을 만나 해명하고 해당 사안을 공직기강해이, 신상털기식 보도가 우려된다는 등의 방향으로 몰고가려 했다.

김기춘 전 실장은 세계일보 보도를 "언론의 무책임 보도, 황색지적 행태"로 규정하며 "개별적으로 정리해 시정을 요구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세계일보 보도 내용을 '찌라시'라 단언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또 김 전 실장은 검찰의 문건유출사건 수사를 "조기종결토록 지도"하게 했으며 "개인적 책임론을 수긍하고 언론대응에 당당히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언론노조는 "세계일보는 단독보도 직후 청와대로부터 거센 보복에 직면하게 되고 김 전 실장과 수석들은 거의 매일 "세계일보 공격" 및 대응방안을 논의했다"며 "차은택, 최순실이 천거한 김상률 교육문화수석 라인과 김종 문체부차관이 통일교재단에 직접 압력을 행사해 세계일보 사장을 해임에 이르게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윤회문건 보도에 대한 청와대의 구시대적인 언론탄압은 비선실세 국정농단에 대한 추가보도와 자료공개를 막았다"며 "2년 후 세계일보 보도는 '찌라시'가 아니라 사실, 현실로 드러나게 됐다"고 밝혔다.

2014년 8월 산케이 신문 가토 전 지국장의 이른바 '세월호 7시간'에 대한 보도에 대해서도 김 전 실장 등은 "응징해줘야 한다"며 "리스트를 만들어 추적해 처단하고 정보수집을 위해 경찰과 국정원이 팀을 구성하라"고 지시했다.

또 "대통령의 동선은 경호 안전상 공개할 수 없으며 사생활과 국가안보를 운운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내용의 언론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이는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청와대가 반복하는 공식이 됐다.

대통령에 대한 모독행위를 엄단하자며 비선실세로 '만만회'를 언급한 박지원 의원을 "가토 전 지국장 처리와 연계한다"는 논의를 했으며 장하나·백정선 의원 등에 대한 대통령 모독혐의 재판을 챙기기도 했다. 

이밖에도 정부는 광주비엔날레, 부산영화제 등 문화 이벤트의 동향을 파악했으며 정부 비판적인 영화 '다이빙벨'을 상영할 경우 수사에 착수하도록 했다고 언론노조는 전했다.

언론노조는 "비망록을 통해 박근혜정부와 청와대의 언론·여론통제는 인사개입, 재정지원·배제, 제3자를 통한 소송 등 법적·제도적 대응으로 나타난다"며 "2013년 2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국민입막음소송'은 22건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22,810 RSS
List
<<  <  484  485  48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