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2일 (일)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미국 유출돼 시애틀에 있었던 조선 '덕종어보', 드디어 한국으로



<덕종어보. © News1>


문화재청, 내달 1일 서울서 시애틀미술관과 반환식 개최



미국으로 유출됐던 조선 왕실의 의례용 도장인 '덕종어보'가 드디어 고국으로 돌아온다. 


문화재청은 미국 시애틀미술관과 함께 다음달 1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덕종어보 반환식을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덕종어보는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이 세자 신분으로 일찍 돌아가신 아버지인 추존왕 덕종을 기리며 '온문 의경왕'(溫文 懿敬王)이라는 존호를 올리기 위해 제작한 것이다.

위엄 있고 단정한 모습의 거북 모양의 어보 손잡이가 도장 몸체인 인판(印板) 위에 안정감 있게 자리 잡고 있으며 거북의 눈과 코, 입 등이 사실적으로 표현돼 조선왕실의 위풍당당함과 굳건한 기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어보(御寶)는 조선 왕실에서 국왕이나 왕비 등의 존호(尊號·덕을 기리기는 칭호)를 올릴 때 의례용으로 제작한 도장으로 종묘에서 신성하게 관리됐던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덕종어보는 고(故) 토마스 D. 스팀슨 여사가 1962년 미국 뉴욕에서 구입해 이듬해 2월 시애틀미술관에 기증한 것으로 문화재청과 시애틀미술관은 협상을 통해 지난해 11월 반환에 합의했다. 덕종어보가 처음 미국으로 건너간 경위는 파악되지 않았다. 

다음달 반환식에는 시애틀미술관 관장과 기증자 유족인 외손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과 같은 자발적 반환은 소장기관과의 협상을 통해 우호적으로 이루어냈다는 점에서 문화재 반환의 훌륭한 본보기라 할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두 기관이 덕종어보 반환에 합의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방 문화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대화와 소통을 통해 접점을 찾아가고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제·민간 협력 강화, 우호적인 환수 여론 조성, 체계적 실태조사 등 국외문화재 환수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분류
Total 32,130 RSS
List
<<  <  838  839  84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