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2일 (일)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6.25는 결코 잊혀진 전쟁이 아닙니다"



워싱턴주청사서 열린 제65주년 기념식에 300여명 참석
인슬리 주지사, 6.25 한국전쟁 발발 기념일 선포
 
 
올림피아 주청사 참전 기념비에서 개최된 한국전쟁 발발 65주년 기념 행사에 미군 참전 용사 및 한인 등 300여명이 참석해 순국 영령들의 넋을 기리고 다시는 민족상잔의 비극이 일어나지 않기를 기원했다.

6.25 참전 국가유공자회(회장 이창구)가 주최하고 타코마한인회(회장 조승주)가 주관한 이날 기념식은 김동진 목사의 기도와 미 14군단 17야전 포병 여단의 조총발사, 순국 선열과 전사자에 대한 묵념과 단체별, 개인별 헌화로 이어지며 잊혀진 전쟁으로 불리는6.25 전쟁에서 자유와 민주 수호를 위해 산화한 미군 및 한국군 참전 용사들의 희생을 다시 한번 되새겼다.

문덕호 총영사는 기념사를 통해 미국의 희생을 바탕으로 한 한미동맹은 북한의 어떠한 남침 도발도 차단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한국전이 잊혀진 전쟁으로 불리지만 이곳의 한인사회와 한국의 모든 세대들은 6.25 전쟁과 그 폐해를 기억하고 있으며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루이스-맥코드통합기지((JBLM) 의무사령관 토마스 템펠 Jr. 육군 소장은 “6.25 전쟁 당시 3 7,000여명의1군단 장병들이 처음으로 한국에 파병되는 등 JBLM1군단은 한국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참전 장병들의 희생으로 전쟁결과가 바뀌었고 한국국민들이 지금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됐다고 참전용사들을 칭송했다.

한국전 참전용사인 존 헴필 예비역 소장은 참전 당시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며 미군의 참전으로 한국이 자유 민주주의를 수호하고 현재 세계에서 인정받는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점에 강한 자부심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제이 인슬리 워싱턴주 주지사도 워싱턴주 재향군인국의 알피 알바라도-라모스 국장이 대독한 선언서에서 “6 20일을 워싱턴주 6.25 전쟁 발발 기념일로 지정한다워싱턴주 주민들 모두 이날을 기념하고 한국전쟁에서 희생한 순국선열들의 희생정신을 기리자고 당부했다.

헌화식 이후에는 한미 참전용사 및 한인 2 150여명이 미 육군 1군단 사령부가 주둔한 JBLM을 방문,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방위와 관련한 전략 등에 관해 설명을 들었다.


크기변환-NDSC_0047.JPG

크기변환-NDSC_0032.JPG

크기변환-NDSC_0028.JPG

크기변환-NDSC_0029.JPG

크기변환-NDSC_0036.JPG

크기변환-NDSC_0041.JPG

크기변환-NDSC_0043.JPG

크기변환-NDSC_0048.JPG

크기변환-NDSC_0049.JPG

크기변환-NDSC_0051.JPG

크기변환-NDSC_0055.JPG

크기변환-NDSC_0058.JPG

크기변환-NDSC_0026.JPG

크기변환-NDSC_0023.JPG

크기변환-NDSC_0017.JPG

크기변환-NDSC_0008.JPG







분류
Total 32,130 RSS
List
<<  <  805  806  8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