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4일 (화)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얼음동굴’ 붕괴 예고됐었다



미 본토서 가장 낮은 빙하…눈 안쌓여 두께 얇아져
연방 산림청, 동굴폭파 계획 과거에 추진해 
 
 
지난 6 6명의 사상자를 낸 빅 포 얼음동굴(Big Four Ice Cave)’붕괴사고는 이미 예고됐었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이 얼음동굴이 조성된 과정과 지난 겨울 이후의 따뜻한 날씨를 감안할 때 충분히 예상됐고, 여름이 끝나기 전에 추가 붕괴도 우려된다는 것이다.

빙하 전문가인 매사추세츠주의 마우리 펠토 교수(니콜로스 칼리지)는 빅 포 얼음동굴이 알래스카를 제외하고 미 전국에서 가장 낮은 고도에 형성된 빙하라고 말했다.

이 얼음동굴은 스노호미시 카운티의 마운틴 루프 하이웨이 인근 빅 포 마운틴’(해발고도 6,000피트) 아래 고도 2,000피트 지점에 형성돼있다. 비록 소규모지만 이 지역의 빙하는 이 동굴이 유일하다.

이 얼음 동굴은 겨울 동안 빅 포 마운틴에 내린 눈이 급경사인 산등성을 타고 밑으로 떨어져 내리고 이따금 눈사태까지 겹쳐 산 밑에 형성되는 거대한 눈산이 본체이다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부터 산 위에 남아 있던 눈이 폭포를 이뤄 떨어지고 비도 내리면서 눈산 뒤쪽을 파고들어 동굴을 만든다.

무더운 여름철엔 물줄기들이 더 거세지면서 동굴 내부가 더 커진다. 따라서 겨울에 내리는 눈의 양과 여름철의 기온에 따라 동굴 위 눈의 높이가 달라지고 동굴의 깊이도 달라진다

강설량이 적었던 2002~2005년엔 이 동굴 위의 빙하높이가 20피트에 불과했으며 2006년부터 다시 눈이 제대로 내려 빙하가 두터워지기 시작했으며 강설량이 특히 많았던 2009년에는 빙하 두께가 180피트까지 늘어났고, 동굴 깊이도 1,200피트까지 길어졌다.

하지만 지난 겨울엔 이 지역에 눈이 거의 내리지 않아 눈사태가 한번도 발생하지 않았고 여름 무더위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이 동굴의 적설량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빙하 곳곳에 구멍과 균열이 생겨 언제 무너져 내릴지 모를 상황에서 이번 사고가 발생했고 앞으로도 올 여름 기간에 붕괴가 이어질 것이라고 펠토 박사는 분석했다.

연방 산림청은 자연적으로 생기는 이 얼음동굴이 매년 여름 붕괴위험을 동반한다는 판단에 따라 미리 봄철에 폭발을 통해 아예 동굴을 없애는 방안을 고려했으나 그럴 경우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어진다는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번에 붕괴 사고가 난 얼음동굴뿐 아니라 만년설인 마운트 레이니어의 빙하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무더운 날씨로 인해 크레바스의 폭이 계속 넓어지고 눈이나 바위 등이 굴러 내려오는 경우도 다반사여서 안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관계자들은 경고했다





분류
Total 32,130 RSS
List
<<  <  799  800  8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