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2일 (일)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해설과 함께 하는 서북미 좋은 시-지소영 시인] 오월의 기원



지소영 시인(서북미 문인협회 회장)

 
오월의 기원
 
 
빗소리가 슬플 때가 있습니다
오월의 창을 서성거리는 바람
어둠과 부딪치는 숲 덧없이 진 비운의 달은 갔습니다
내 몸을 파장하는 통증도
느린 걸음으로 계곡을 지납니다
이제 좀 덜 아팠으면 좋겠습니다
햇볕 드는 날이 더 많은 오월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소녀 가장에게도 독거 노인에게도
따뜻한 가슴으로 다가가는 이들이 더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배부른 자는 부를 풀고
땀과 노동의 의미를 나누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의 노래와 아름다운 언어로
무궁한 힘을 길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해설>
 
화자는 지난 잔인한 사월, 혹은 겨울은 빗소리가 슬펐고 바람과 어둠과 싸워야 했던 비운의 달이라 한다. 그리고 자신의 몸도 파장하는 통증을 앓아야만 했던 달이었다

그러나 오월이 왔으니 햇볕을 받아 덜 아프기를 기원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화자가 자신만의 고통에 집착하지 않고 이웃과 사회의 고통에 까지 페이소스의 경계를 확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소녀 가장과 독거노인, 노동자에게 더 많은 햇볕이 들기를 바란다. 그 햇볕은 하늘의 햇볕이라기 보다 불운한 자들에게 다가가는 사람들의 따뜻한 가슴인 것이다

그렇다. 사람의 따뜻한 가슴이 곧 햇볕이다. 여기서 지소영 시인이 진정한 휴머니스트임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은 오월을 여러 미사여구로 찬미하는 글을 애독한다

그러나 진정한 문학은 고통에서 빚어낸, 그것도 보다 더 불행한 이들에 대한 연민의 사랑에서 빚어낸 작품이 더욱 깊은 카타르시스의 미학을 구축한다는 점을 이 작품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남의 아픔을 위해 기도하여 자신의 아픔을 치유하는 시적 모티브가 진한 감동을 준다. 시인이 속히 쾌유되어 그의 기원대로 아름다운 언어로 감사의 시를 쓸 수 있는 무궁한 힘을 얻기를 바란다.                                    김영호 시인(숭실대 명예교수)




분류
Total 32,130 RSS
List
<<  <  685  686  68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