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1일 (토)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5ㆍ18 정신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의 시작”



타코마 한인회관서 제36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자유와 정의를 위해 펼쳐졌던 518 광주 민주화운동 제 36주년 기념식이 시애틀에서도 엄숙하게 치러졌다.

시애틀 518 민주화운동 기념행사 준비위원회(위원장 이상규) 15일 오후 타코마 한인회관에서 개최한 기념식에는 시애틀영사관 김병권 부총영사를 비롯해 50여명이 참석했다

이정주ㆍ홍승주 시애틀민주연합 공동 대표, 홍인심 타코마한인회장, 민학균 전 시애틀한인회장, 김용규 전 페더럴웨이 한인회장 등과 타코마한인교회 연합회장인 이동기 목사(타코마 사랑의 교회 담임)등도 자리를 함께 했다.

참석자들은 “518 정신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를 만드는 시작이었다고 입을 모으고  독재에 항거해 목숨을 바친 민주영령들은 물론 유가족들에게 위로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종행 베트남참전전우회 이사장의 사회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이상규 준비위원장과 이정주 시애틀 민주연합 대표는 전두환 독재정권이 일으켰던 폭정에 항거해 자발적으로 벌어져 조국의 민주주의 역사를 새롭게 쓴 518 민주화운동은 1997년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 국가 기념일로 제정했다고 설명했다

국가 기념일인 만큼 한국 정부를 대표해 시애틀영사관의 김병권 부총영사도 참석했다.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으로 시민군에 참여했다는 김용규 전 페더럴웨이 한인회장은 당시 우리는 대한민국의 자유를 위해, 그리고 사회 부조리에 항거해 싸웠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승주 시애틀 민주연합 공동 대표는 당시 시애틀에서도 민주화 운동이 벌어졌었다면서 “518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제대로 되지 않아 안타깝지만 그나마 유네스코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한 것은 다행이라고 말했다.

민학균 전 회장도 “518 당시 안병하 전남경찰국장은 끝까지 군대 투입에 반대했다가 결국은 고문을 받아 그 후유증으로 숨졌다면서 “518은 당시 군부 독재가 투입되면서 불행을 만들었던 것이라고 평가했다.

고경호 전 워싱턴주 한인 그로서리협회 회장은 이날 민주영령들을 추모하는 자작시를 낭송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영령들에 대한 헌화와  임을 위한 행진곡제창으로 행사를 마쳤다

크기변환-NDSC_3759.JPG

크기변환-NDSC_3741.JPG

크기변환-NDSC_3730.JPG

크기변환-NDSC_3731.JPG

크기변환-NDSC_3736.JPG

크기변환-NDSC_3739.JPG

크기변환-NDSC_3750.JPG

크기변환-NDSC_3751.JPG

크기변환-NDSC_3754.JPG

크기변환-NDSC_3755.JPG

크기변환-NDSC_3758.JPG

크기변환-NDSC_3761.JPG

크기변환-NDSC_3763.JPG

크기변환-NDSC_3764.JPG

크기변환-NDSC_3765.JPG

크기변환-NDSC_3769.JPG

크기변환-NDSC_3771.JPG

크기변환-NDSC_3774.JPG

크기변환-NDSC_3775.JPG

크기변환-NDSC_3779.JPG

크기변환-NDSC_3782.JPG

크기변환-NDSC_3787.JPG

크기변환-NDSC_3789.JPG

크기변환-NDSC_3796.JPG

크기변환-NDSC_3800.JPG

크기변환-NDSC_3805.JPG

크기변환-NDSC_3807.JPG

크기변환-NDSC_3812.JPG

크기변환-NDSC_3816.JPG

크기변환-NDSC_3823.JPG

크기변환-NDSC_3830.JPG








분류
Total 32,130 RSS
List
<<  <  679  680  68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