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월 02일 (일) 로그인 PC버전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2021년 1월 시애틀N 사이트를 개편하였습니다. 열람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2021년 이전 자료들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시애틀N 최신 기사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한국선 김무성, 미국선 힐러리 대통령 된다"



한국일보 미주한인 1,158명 설문조사 결과서
김 대표ㆍ반기문ㆍ문재인순미국은 65%가 클린턴 꼽아
 
 
미주 한인들은 한국에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사진 왼쪽)미국에서는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사진 오른쪽)가 차기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시애틀N의 협력사인 한국일보 미주 본사가 창간 47주년 및 새해를 앞두고 미 전국 대도시 한인 1,15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한미 총선 및 대선 어떻게 보십니까-관심도 및 지지 성향이란 이름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다가올 한국 대선에서 누가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김무성(29.6%)대표반기문(22.8%) 유엔사무총장문재인(10%) 더불어민주당(구 새정치민주연합대표 순으로 꼽았다

올해 실시되는 미국 대선에서 누가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될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3명 중 2명 꼴인 64.9%가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선택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야 대선후보 지명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여당의 경우 김무성(43.8%) 대표야당의 경우 문재인(30.3%) 대표를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대통령 당선 가능성과는 별도로 여당 대선주자 지지도를 묻는 질문에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31.1%의 지지율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아 대조를 보였다.

여당 대선주자 지지도는 반기문 총장에 이어 김무성(20%), 유승민(6%), 오세훈(5.9%), 정몽준(5.6%), 김문수(2.9%) 순으로 나타났다.

야당 대선주자 지지도는 박원순(20.4%), 안철수(19.6%), 문재인(17.2%), 손학규(6.1%), 이재명(2.4%), 안희정(2.1%) 순이었다.

만약 다음 한국 대선에서 김무성-문재인 맞대결이 이뤄질 경우를 가상한 지지도에서는 김무성 대표가 54.5%로 문재인 대표(45.5%)보다 높은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김무성-박원순 대결일 경우에는 52.5% 47.5%로 격차는 약간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여당 후보 선호도를 보였다.

만약 반기문 총장이 한국 대선에서 여당 주자로 나설 경우를 가상한 질문에는 반기문-문재인 대결에서 68.2% 31.8%, 반기문-박원순 대결에서는 65.9%  34.1%로 반기문 총장 선호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미국 차기 대통령 당선 가능성은 힐러리 클린턴(민주전 국무장관이 압도적 지지율로 1위를 차지했다한인들은 미국 차기 대통령 당선 가능성으로 클린턴(64.9%), 도널드 트럼프(4.6%), 버니 샌더스(2.7%), 젭 부시(2.7%), 테드 크루즈(0.8%) 순으로 꼽았다.

민주당 대선 후보 지명 가능성에서도 힐러리 후보는 65% 2위인 샌더스 12% 5배나 앞질렀다공화당 대선 후보 지명 가능성에는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22%, 젭 부시 19.4%, 마르코 루비오 6.3%, 테드 크루즈 6.0%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한인 50%는 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밝혔다공화당 지지자는 25%로 무당파24%와 비슷했다특히 한인들은 각종 실언으로 주목받으며 공화당 대선 후보 지지율 1위를 달리는 도널드 트럼프에게 박한 점수를 줘 주류사회 여론과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분류
Total 5,572
List
<<  <  373  374  37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