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직장이라지만…2030 공무원 '박봉'에 탈출 러시

최저임금 보다 못한 9급 초임 월급…"고물가 속 생계 위협" 토로

5년 미만 재직자들 지난해 1만명 떠나…이 중 81%가 MZ대

 

공무원 감축과 보수 등 공직사회의 처우를 두고 정부와 공무원노조의 갈등이 격화되는 분위기다. 고물가 여파로 생활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했지만, 임금인상률은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어서다. 공무원은 정년이 보장되는 안정적 직장이지만, 최저임금 보다 못 미치는 급여 수준에 2030 청년 공무원들의 '탈출 러시'가 최근 가속화하는 모습이다.

27일 정부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공무원 정원을 매년 1%씩 줄여 임기 내 약 5만8000명의 공무원 인력을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또 공무원 임금인상률에 대해서도 1.7~2.9%의 임금인상률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적으로 기획재정부가 제시한 인상률보다 낮은 수준으로 결정하는 것을 고려할 때 내년 공무원 임금은 1%대로 제한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에 지난 10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과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 인근에서 총력 투쟁 결의대회를 열었다. 23일에는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정문 앞에서 '일방적인 희생강요 중단! 물가인상률 반영한 보수 인상! 공무원보수 인상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임금 현실화를 촉구했다.

최근 2년간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2021년 0.9%, 2022년 1.4%였다. 한국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대로 전망하고 있다. 5%대 물가 상승률이 현실화 될 경우 1998년(9.0%)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올해 공무원 봉급표를 보면 9급 공무원 초임(1호봉) 월 기본급은 세전 168만6500만원이다. 시간당 9160원의 최저임금을 받는 근로자의 월급(191만4440원)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192만원을 받는 7급 공무원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저연차를 중심으로 공무원들의 이탈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재직 기간 5년 미만의 공무원들이 1만693명이나 공직사회를 떠났다.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이 중 2030세대가 81%나 차지했다. 다수의 청년 공무원들은 퇴직을 결심한 이유로 낮은 임금을 꼽은 것으로 전해진다.

관가에서도 이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분위기 쇄신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최근 인사혁신처는 '공직문화 혁신 기본계획'을 통해 채용, 평가, 보상 등 인사체계 개선에 나섰다. 스터디카페에서도 근무할 수 있도록 자율근무제 도입이나 성과급 지급 시 동료평가 반영 등이 추진될 방침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실질적인 임금 문제 해결이 급선무라는 반응이다.

경제부처의 한 3년차 직원은 "상식적으로라면 임금이 물가상승률에 연동되어야만 (생활이) 유지가 되는데 국민 고통 분담차원에서 동결 수준으로 지속되어 왔다"며 "현재와 같이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황에서는 엄청난 실질임금 하락을 체감하고 있는 중이다. 국민에게 봉사하기 위해 공무원이 됐지만 그로 인해 마주한 현실은 참담한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5년차 직원은 "어느 정도 수준의 보상이 뒤따라야 업무에도 동기부여가 되지 않겠나"라며 "사기업 수준을 바라는 게 아니라 생활이 가능한 수준으로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하소연했다.

한편 공무원노조는 추후 물가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정부에 보수 7% 인상을 요구 중이다. 노조는 물가인상률을 반영한 보수 인상을 촉구하는 집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노조는 "내년 임금 인상률이 1%대에서 결정되면 하위직 공무원들의 생계가 위협받는 생존 위기 상황"이라며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면담을 촉구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