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소비자물가 6.3% ↑…24년 만에 최고, 두달 연속 6%대

1998년 이후 최대 상승률, 생활물가지수는 7.9%↑

농축수산물·공업제품·서비스·공공요금 모두 상승

 

7월 소비자 물가가 1년 전보다 6.3% 오르며 약 24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석유류와 채소류, 공공요금 등이 전년 대비 크게 상승하며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 물가 지수는 108.74(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6.3% 상승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난 6월 상승률인 6.0%보다도 0.3%포인트(p) 상승폭이 확대됐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 외식 등 개인서비스 가격이 높은 오름세를 지속한 가운데 농축수산물과 전기·가스·수도 가격도 오름세가 확대되며 전년 동월 대비 6.3% 상승했다"며 "다만 전월(6월)과 비교해 7월은 석유류와 돼지고기 등 축산물 가격이 하락 전환해 상승세가 (전년 대비) 조금 둔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7월 물가는 공업제품, 농축수산물, 서비스, 전기·수도·가스 등 대부분 품목이 상승했다.

공업제품은 전년 대비 8.9% 상승했다. 경유(47.0%), 휘발유(25.5%), 등유(80.0%), 자동차용LPG(21.4%) 등 유류 상승세가 여전했다. 다만 지난 6월과 비교해서는 하락 전환했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년 대비 7.1% 상승했다. 특히 채소류(25.9%)의 상승률이 높았다.

어 심의관은 "(채소류는) 기본적으로 유류비와 비료비가 많이 상승해 전반적으로 생산비가 상승됐다는 배경이 있다"며 "비가 많이왔고 고온다습한 날씨 요인도 있고 지난해에는 작황이 좋아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도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오이(73.0%), 배추(72.7%), 시금치(70.6%), 상추(63.1%), 파(48.5%), 수입쇠고기(24.7%), 돼지고기(9.9%) 등이 크게 올랐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요금 인상에 따라 전년 대비 15.7% 급등했다. 전기료(18.2%), 도시가스(18.3%), 지역난방비(12.5%) 등의 상승폭이 컸다.

서비스 물가는 전년 대비 4.0% 상승했다. 특히 개인서비스가 6.0% 오르면서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어 심의관은 "기본적으로 외식 품목 가격들이 다 상승했는데 우선 국제곡물가격 상승, 농축산물 가격상승 누적에 따른 재료비인상 측면이 있다"며 "방역 위험 부담이 축소되며 야외활동이 늘고 대면서비스 중심으로 호조 보이고 있는데 그런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통계청의 7월 소비자 물가 동향 발표를 하루 앞둔 1일 서울 시내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앞서 정부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장마·폭염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 국제 원자재 공급망 차질, 공공요금 인상 등으로 지난달에 이어 6%대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2022.8.1/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7.9% 오르면서 1998년 11월(10.4%) 이후 가장 급격하게 상승했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변동을 배제한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3.9%로 2009년 2월(4.0%)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어 심의관은 "이번달은 지난해 8~9월이 어느정도 (상승률이)높았던 기저효과도 작용하기 때문에 오름세가 그렇게 확대되진 않을 것이라고 기대한다"며 "다만 추석을 앞두고 여건에 따라 농축수산물 가격이 불안을 보일 가능성이 없지 않은데, 이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전제로 오름세가 크게 확대되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까지 물가 상승을 주도한 대외 불안 요인들이 완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것은 굉장히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