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대한민국…생산인구 세대 '휘청'

작년 65세 이상 고령자 871만명…전체의 16.8%

2050년 국민 40%가 고령층…정부, 인구위기대응TF 구성

 

대한민국의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제 일을 하는 세대 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향후 고령화는 가속화할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관련 태스크포스(TF)를 본격 가동해 대비책을 마련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29일 통계청의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한국에 거주하는 고령자(외국인 포함)는 871만명이다. 고령자 수와 고령인구 비율 모두 역대 최대치다.

고령자수는 지난 2020년 대비 419000명(5.1%) 늘었다. 이에 따라 국내 총인구(5174만명) 대비 고령자 비율은 2020년 16.0%에서 지난해 16.8%로 0.8%포인트(p) 증가했다.

고령인구를 나눠보면 65~74세 4995000명, 75~84세 2751000명, 85세 이상 874000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6.4%, 1.5%, 9.1% 늘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특히 그 안에세도 85세 이상의 초고령인구 비율이 상당히 많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고령화와 대비되는 생산연령인구(15~64세)의 감소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는 3694만명으로 전년 대비 344000명(0.9%) 줄었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 역시 71.9%에서 71.4%로 0.5%p 줄었다.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할 사람은 줄고 고령자가 늘어나면서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년부양비는 23.6명으로 전년 대비 1.3명 상승했다. 생산인구 약 4명당 1명의 고령자를 부양하는 셈이다.

이대로라면 급격한 인구감소를 동반한 초고령화에 따른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국가경쟁력 전반의 저하가 우려된다. 

통계청이 지난 5월 발표한 '시도별 장례인구추계'를 보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50년 1900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고령화에 비해 출산율이 이를 받쳐주지 못함에 따라 전체 인구에서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15.7%에서 2050년 40.1%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일단 정부는 기존 인구정책TF를 확대해 기획재정부 1차관이 팀장을 맡는 인구위기대응TF를 구성했다. 

TF는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 속도를 최대한 늦추면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정책을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고령친화산업과, 로봇 등 축소사회 유망산업을 육성 계획도 수립할 전망이다.

방기선 기재부 1차관은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더욱 심화하고 있어 더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인구위기 대응방안과 부문별 대책을 7월 이후 순차적으로 발표하고, 내년 예산 반영 및 법·제도 개선 등을 통해 신속히 추진해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