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족 자녀 90% 한국서만 자라…이중언어 사용 환경 감소

15년 이상 거주자 39.9%…9~24세 자녀 비중 44%

한국생활 적응도 향상에도…"학습 지도 어려워"

 

결혼이민자와 귀화자가 생활에서 겪는 어려움과 차별 경험은 감소하는 등 한국생활 적응도는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 학제경험이 부족한 결혼이민자·기타귀화자가 학령기에 접어든 자녀를 양육하고, 학습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다문화가족 자녀 중 국내에서만 성장한 자녀의 비율이 90%에 이르면서 다문화 배경 자녀의 강점인 이중언어 활용과 능력개발 의지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여성가족부가 전국 다문화가족 1만5578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가구는 전체 34만6017가구로 나타났다. 이중 결혼이민자(한국인과 혼인한 외국 국적자 및 혼인귀화자) 가구가 82.4%(28만5005가구) 기타귀화자(혼인귀화 외의 방법으로 한국 국적을 취득한 귀화자) 가구가 17.6%(6만1012가구)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비율은 6.1%로 2018년(55.6%) 대비 0.5%p 증가했으며, 동(洞) 지역 거주자(76.8%)가 읍·면 지역 거주자(23.2%)에 비해 3배 이상 많았다.

가족 구성은 '부부+자녀' 가구 35.5%, 부부 가구 30.0%, 한부모 가구 10.9%, 1인 가구 8.3% 등이며, 부부 가구의 비중이 2018년(17.0%) 대비 13.0%p 늘었다.

이들의 가구 소득은 월평균 300만원 이상이 증가(2018년 41.8%→2021년 50.8%)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51.5%가 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다문화가족 중 15년 이상 거주자(39.9%)가 큰 폭으로 증가(12.3%p)했으며, 정착주기 장기화로 평균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다. 결혼이민자·기타귀화자의 국내 거주기간 15년 이상 비율은 39.9%로 2018년(27.6%) 대비 12.3%p 증가했고, 30세 이상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부부관계의 만족도와 대화시간이 증가했고, 문화적 차이와 갈등은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부부관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간 문화적 차이를 경험했다는 비율은 52.4%로 3.5%p 줄었고 식습관, 의사소통방식에서 큰 차이를 경험하고 있다.

(여가부제공)© 뉴스1


결혼이민자·기타귀화자의 자녀관계 만족도는 4.54점으로 3년 전(4.44점)보다 다소 높아졌다. 자녀 양육에 있어 만 5세 이하는 한국어 지도(26.8%), 만6세 이상은 학습지도(50.4%)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 5세 이하 자녀 양육이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은 73.7%로 2018년(78.2%) 대비 4.5%p 감소했고, 그 중 가장 큰 어려움은 한국어 지도(26.8%), 긴급돌봄(20.5%), 양육 의견차이(15.8%), 학제정보 부족(8.0%) 등이다.

만 6세 이상 자녀 양육이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은 88.1%로 5세 이하보다 높았고, 학습지도(50.4%)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문화가구 자녀들의 현황을 보면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만 9~24세 자녀의 비중이 증가했으며 대부분 국내에서 성장했다. 전체 다문화가족 자녀 중 만 9~24세는 43.9%로, 2018년 대비 8.3%p 증가했다.

만 9~24세 중 국내에서만 성장한 비율은 90.9%로 20’18년(83.8%) 대비 증가했으며, 학습지원(3.42점), 진로상담·교육(3.31점)에 대한 서비스 수요가 높았다.

외국출신 부모의 모국어를 한국어만큼 잘하고 싶다는 비율은 27.3%로, 2018년(42.4%) 대비 15.1%p 감소하는 등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환경 및 의지는 감소했다.

(여가부제공)© 뉴스1


김숙자 여가부 가족정책관은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언어 사용 의지가 감소한 이유로 "다문화가족의 정착주기가 장기화하고, 국내에서만 성장한 자녀 비중이 높아지면서 국내출생 자녀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중언어 습득의 필요성과 절실함이 감소하고 있다"며 "정착주기가 길어지면서 부모들 또한 한국어 소통이 원활해졌다"고 설명했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률은 우리나라 학교급별 전체 국민에 비해 모두 낮은 수준이고,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격차는 31.0%p로 매우 큰 수준이다.

이에 대해 김 정책관은 "교육 부문은 부모의 역할과 관심이 중요한데 다문화가구의 경우 한국 학제 경험과 정보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언어소통도 어려워 학습지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전체 취학률 증가 비율을 보면 대학 진학은 어느 정도 하고 있지만 적령기에 대학 진학이 어려운 것으로 보이인다"고 말했다.

여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 정책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 학령기 자녀 맞춤형 교육·돌봄 체계를 담아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23~2028)을 수립할 예정이다.

올해 전국 90개 가족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자녀 기초학습 지원 사업과 78개 가족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업∙진로 상담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 가족센터의 '이중언어 가족환경조성 사업'을 통해 가정 내 효과적인 이중언어 소통방법 등을 교육하며, 이중언어 인재 데이터베이스(DB)도 운영한다.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다문화가족 자녀가 차별 받지 않고 국제적 감각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국정과제로 '다문화가족 자녀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는 정책을 적극 발굴해 현재 수립 중인 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에 충실히 담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