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영 못지않은 김승희 '난관'…치매 막말·로펌·야당 반발 숙제

2019년 문재인 치매로 비꼰 뒤 국감 파행 맞아도 사과 거부

"막말 정치인" 야당 거부감 상당…큰 흠결 없으면 임명 유력

 

김승희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야당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사퇴한 전임 정호영 후보자에 비해 비토 기류가 더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회의원을 지냈고, 윤석열 대통령이 여성 몫으로 지명했다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결정적인 한방이 없으면 임명이 강행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文 치매'로 비꼬고 사과 거부…로펌 근무 이해충돌 소지

김승희 후보자는 의약품 분야 기술관료 출신이지만, 지난 2016년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국회의원이 된 다음에는 강성 정치인 이미지가 형성됐다. 특히 지난 2019년 10월 문재인 대통령을 치매에 빗대 비꼰 이후 국정감사가 파행을 맞았는데도 거듭 사과를 거부했다. 이로 인해 당시 여당에서도 강성 정치인 이미지가 만들어졌다. 

김 후보자는 국회의원 시절인 지난 2019년 10월 4일 박능후 복지부 장관에게 "치매와 건망증이 다르냐"고 물은 뒤 "의학적으로 보면 다르지만, 건망증은 (치매) 초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동시에 (국민들이) 대통령 기억력 문제를 기억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이 개별 대통령기록관 추진에 불같이 화를 냈고, 건립을 지시하지 않았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지만, 앞서 8월 29일 관련 예산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된 것을 대통령 기억력에 빗대 비판한 것이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이쯤 되면 주치의뿐만 아니라 복지부가 (대통령) 기억력을 잘 챙겨야 한다"며 "국가치매책임제는 대통령 1호 공약"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의 치매 증상이 의심된다는 비판인 셈이다.

이 발언 이후 야당 의원들이 거세게 반발했고 사과를 요구했지만 김 후보자는 응하지 않았다. 이런 이미지 때문인지 야당은 김 후보자를 '막말 정치인'으로 규정하고 후보자 지명 철회를 강력히 요구 중이다.

김 후보자가 2020년 5월 국회의원 임기가 끝자고 두 달 뒤인 2020년 7월부터 2년 가까이 법무법인에서 근무한 이력도 논란이다. 해당 법무법인은 제약 및 바이오, 헬스케어 등 김 후보자 직무와 관련된 분야를 주력으로 맡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을 지낸 김 후보자가 관련 로펌에서 근무하고 다시 복지부 장관이 되는 것은 이해충돌 소지로 해석될 수 있다. 

김승희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26일 지명 직후 입장문을 통해 "취약계층을 촘촘하고 두텁게 보호하겠다"면서 "성장과 복지가 선순환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어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임명되면 지속 가능한 노후소득 보장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 야당 "정호영보다 더 문제"…낙마는 쉽지 않을 듯

야당은 김 후보자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2019년 치매 발언에 대한 거부감이 아직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보건복지위원 위원들은 지난 26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내각 인선에 여성이 없다는 국내외 비판을 의식해 부랴부랴 여성 정치인 출신을 내정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김승희 후보자는 20대 국회에서 손에 꼽히는 막말 정치인으로 알려진 인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김 후보자는 식약처장 재직 시절 가짜 백수오 파동 때 인체에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무책임한 발언을 했다"며 "(국민은) 무능한 식약처장으로 기억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복지위 소속 한 야당 의원실 관계자는 "김 후보자가 막말 정치인이고 상임위 활동에서 전문성을 발휘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전문성과 인품 모두 낙제점"이라고 맹비난했다.

또 다른 야당 의원실은 "차라리 정호영 전 후보자가 났다. 20대 국회에서 복지위 소속이었던 사람들에게 악명이 높다"며 "김 후보자는 21대 국회의원으로 공천을 못 받고 그 후 법무법인에 들어가 일한 것으로 안다. 식약처장과 국회의원 경력으로 소송에서 유리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비토 기류에도 김 후보자 낙마가 쉽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무엇보다 국회의원 출신 장관 후보자가 낙마한 사례를 찾기 어렵다. 또 자녀 문제 등 결정적인 한방이 있지 않는 한 윤석열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분석이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