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떼·20대 클럽충·틀딱충'…코로나시대 세대갈등 불끈

어느 순간부터 우리 사회에서는 세대 차이가 '문화 차이'가 아닌 '갈등'으로 자리잡았다.  2019년 '꼰대'라는 말이 유행하면서 젋은층의 중장년층에 대한 좋지않은 감정이 대규모로 확산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을 거치며 노년층과 청년층애 대한 양방향 혐오가 증폭된 모습이다. 

뉴스1이 빅데이터 분석업체 타파크로스에 의뢰해 뉴스 기사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갈등관련 언급량(버즈양) 데이터를 집계하고 정해진 산식에 따라 지수를 산출한 결과 올해 1분기(1월1일~430일) 누적기준 한국사회 세대갈등지수는 105.2로 2018년(100)에 비해 증가했다. 

지수는 직전 4개분기 평균치를 기준으로 해당분기 세대 갈등 관련 언급량 증감과 긍정언급량 대비 부정언급량 초과유입치 증감을 토대로 분기별 증감지수를 산출한 다음, 이를 시기별로 합산해 누적지수를 작성했다.(2018년=100) 세대외에 젠더·진영·불평등·일터갈등 지수도 같은 방식으로 산정됐다. 세대 갈등이 전체 버즈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9%다. 

종합갈등지수는 이들 5개 유형별 갈등지수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도출했다. 각 갈등에 대한 사람의 참여도와 상관없이 각 갈등이 사회에서 갖는 무게나 중요성은 같다고 가정했다. 해당분기 전체 언급량이 늘수록, 부정언급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유입될 수록 갈등전선이 확산되고 갈등 정도도 깊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라떼·꼰대'로 본격화된 세대 갈등

2018년 이후 세대갈등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2019년 2~3분기 1차 증폭된다. 2019년 3분기 세대갈등지수는 누적기준 105.1로 전분기 대비 5.2 증가했다. 당시에는 '꼰대'라는 말과 꼰대를 풍자하는 표현인 '라떼팔이' 등이 온라인 상에서 많이 사용됐다.

같은해 말 뉴질랜드 의회에서 20대 클로에 스와브릭 녹색당 의원이 환경문제에 반대하는 기성의원의 야유에 '오케이 부머(OKboomer, 베이비부머 세대에 대한 조롱)'라고 맞받아치면서 해당 표현이 한국에서도 회자됐다. 타파크로스에 따르면 이 시기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앱인 블라인드 등에서 회사 상사를 '라떼, 꼰대'라고 지칭하는 게시글도 많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는 노인·청년 세대에 대한 상호 비난이 크게 늘었다. 2020년 2분기에는 사회갈등지수가 110.1로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2020년 2분기인 4,5월에는 이태원 클럽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코로나19 위험성에 무감각한 청년들을 비난하는 '클럽충' 등의 신조어가 생겼다. 이후 청년층의 핼러윈 파티 등을 두고도 비난 여론이 높았다. 

같은해 8월에는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와 교인, 태극기부대 등을 중심으로 광화문에서 대규모 집회가 개최하면서 이들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았다. 참여자들은 대부분 노인으로, 노인 혐오표현인 '틀딱', '노인충', '틀극기' 등의 표현이 많이 사용됐다.

◇ MZ세대 vs 기성세대… 세대 입장차 두드러져

세대간 입장차와 관련한 언급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2021~2022년에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MZ세대'였다. 특히 대선 기간중 2030세대와 4050세대 간의 갈등 또는 입장차이가 두드러졌다. 

현 정권이 추진하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의 정책이 기성세대에 대한 반발을 더욱 강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MZ 세대가 외치는 '공정성'이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던 정규직화, 여성할당제 등과 부딪히면서 세대갈등으로도 번진 부분도 있다"고 했다.  

이외에도 조사기간 '틀딱충' '이대남' 등 세대를 비하하는 단어도 많이 사용됐으며, '잼민이' 등 미성년자에 대한 혐오표현도 확산되는 모습이었다. 

◇세대갈등 누적…"정치권서 세대 내·세대간 불평등 해소해야"

세대갈등은 정점을 찍고 난 후에도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이다. 2020년 2분기 사회갈등지수가 정점을 찍은 이후에도 세대 분야의 사회갈등지수는 100 안팎을 오가며 유지되는 양상을 보인다.

전문가들은 세대갈등도 결국 기회의 축소에서 생기는 현상으로 이해하고 정치권에서 해결 실마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단순히 세대 간 문화, 가치관 차이를 강조하다 보면 세대 내 소득이나 자산불평등 문제를 은폐하게 된다"며 "정치권이 교육, 취업, 결혼, 주거, 육아 등에서 소외된 청년들 위한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상철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도 "산업발전 구조상 2030 세대가 사회에 진입할 수 있는 자리가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며 "기업들이 인건비를 무한정 늘릴 수 없기 때문에 정부는 임금피크제 등 제도를 논의해 청년들의 사회 진입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