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 관망하는 북한…'어려운 선택지' 받아든 모양새

중국 '침공 반대' 공식화될 경우 '러시아 지지' 어려울 듯

지난 13일 이후 당국 차원 입장 표출 없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북한은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북중러 밀착 구도에서 이번 사태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입장이 미묘하게 다른 상황이 감안된 것이라는 해석도 22일 나온다.

북한은 지난 13일 외무성을 통해 "미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설을 내돌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나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기정사실화한 것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외무성은 미국이 이 같은 낭설을 퍼뜨려 러시아를 상대로 한 무력 증강을 합리화하고 있다는 논리를 펼쳤다.

그러나 이후 열흘 간 상황은 계속 급박하게 진행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2일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이 지역에 '평화유지군'을 파병할 것을 지시했는데, 이는 사실상 침공을 위한 '초동 조치'를 취한 것과 다름없다는 평가다.

이번 러시아의 행동은 국제사회의 비난을 사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에 가입해 미국 등 외부의 미사일 체계를 우크라이나에 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번 사태를 벌였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 같은 러시아의 입장은 북한 역시 호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북한은 지난해 미국에게 '대북 적대시 정책'을 포기할 것을 요구하면서 북중러 밀착 강화를 통한 대미 견제 구도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이번 사태에 대해 공식적으로 미국을 비난하거나, 러시아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하지는 않고 있다. 비록 외무성을 통해 일부 입장이 표출됐지만 이는 '나토'에 대한 반대를 표하는 것이고, 북한이 주요 계기에 공식 입장을 발표하는 담화나 관영매체의 보도 방식은 아니었다.

북한은 지난 7일 러시아와의 대면 협의를 통해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북 러시아 대사와 임천일 외무성 부상이 평양에서 만난 것인데, 당시 러시아 측은 만남 당일 즉각적으로 이를 공개하면서 우크라이나 정세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은 만남 이틀 뒤에야 이를 공개하며 우크라이나 관련 언급은 하지 않아 미묘한 온도차를 보였다.

표면적으로는 러시아가 북한에게 우크라이나 관련 입장 표명을 요청하고 북한은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그러나 북한은 러시아와의 교역 재개라는, 올해 최대 과업인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사안을 러시아와 논의 중이기도 하다. 또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각종 미사일 관련 기술도 이전받고 이후에도 부품 등을 러시아를 통해 조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입장 표명에 있어 러시아의 심기를 살필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낼 것으로 보인다는 외신의 보도가 나온 것은 북한의 선택에 고민을 더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중국 공산당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상무위원회가 비공개 회의를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반대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지난 19일 뮌헨 안보포럼에서 "모든 국가의 주권, 독립 및 영토 보전을 존중해야 한다"며 "우크라이나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고 발언한 것도 중국의 입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북한은 정치, 경제적으로 중국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이런 중국의 입장을 '거스르는' 대러시아 결정을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러시아와의 외교적 접촉은 수시로 진행하고 있어, 북한은 현재의 상황이 이어질 경우 공개적인 입장은 표하지 않으면서 러시아 측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모호한 스탠스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