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들처럼 집단행동"…'20개월째 매출제로' 벼랑 몰린 여행업계

정부 손실보상서 제외·금융지원만…"담보로 할 신용도 없어"

2년새 3분의 1 폐업…17개 시·도관광협회도 대응논의

 

"2년 동안 꼬박 참았는데 달라지는 게 없으니 자영업자들처럼 집단행동에 나서야만 정부가 움직일 거란 이야기가 나올 수 밖에 없어요. 정부에 성명서 전달을 해도 달라지는 게 없으니 표현 방법을 바꿔야한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악화된 코로나19 방역지표 속에 또 한 번의 연말을 맞은 여행업계에서 집단행동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세계적인 팬데믹 사태로 생존 절벽에 내몰렸으나 정부의 손실보상 대상에 포함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본격적인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것이다. 

26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이 같은 집단행동 요구는 전체 여행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5인 미만 영세사업장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대유행하기 시작한 지난해 4월부터 꾸준히 누적돼 왔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과 트래블버블 기대도 잠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새해에도 '매출 제로'가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의 2021년 사회조사 결과 올해 국내관광 여행자는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과 비교해 각각 69.2%에서 39.8%로 감소했다. 하늘길이 막히면서 해외여행 여행자는 같은 기간 30.4%에서 1.1%로 폭락했다. 

국내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4인·6인 인원 제한으로 단체여행이 불가능하단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여행사가 수익을 낼 시장 자체가 사라진 셈이다. 업계에서는 여행사 1만8000여곳 중 약 30%가 지난 2년새 폐업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한국여행업협회(KATA), 전국여행사단체연합회 등은 앞서 △여행업계 손실보상 대상 포함 또는 특별재난업종 지정 △백신접종 완료자에 대한 단체여행 제한 해제 △관광 방역일자리 지원 연장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정부는 집합금지·집합제한 등 행정명령 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여행업을 손실보상 대상에 포함하지 않고 있다. 경영위기업종으로 지정된 여행업은 그간 금융지원을 받아왔으며, 최근 문화체육관광부는 여행업 등 관광업체에 융자금 상환을 1년 추가 유예하고 이자를 최대 1%까지 감면한다고 발표했다. 

현장의 반응은 냉담하다. 서울에서 여행사를 운영하는 A씨는 "사실상 갚아야 할 빚인데다 매출이 아예 없어서 이제는 담보로 할 신용도 없다"며 "다들 보험이나 적금을 깨고, 관광진흥법상 반드시 보유해야 하는 사무실까지 빼면서 견디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화물운송이라도 가능한 항공사나 국내 여행객이라도 받는 숙박업과 다르게 여행업은 정말 매출 제로"라며 "행정명령을 내린 적이 없어서 지원을 해주지 않겠다는 정부 논리에 가슴이 미어진다"고 덧붙였다. 

이에 17개 시·도지역관광협회는 내년 초 서울시관광협회 주도로 전체 협회장이 모이는 회의를 열고 대책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 집단행동을 포함해 기존보다 강력한 대응책이 논의될 예정으로, 최종안을 한국관광협회중앙회에 전달할 계획이다. 중앙회는 관광 관련 업종 협회들을 회원으로 둔 관광업계 최대 규모의 민간단체다.

서울시관광협회 고위 관계자는 "많은 업체들이 생존 절벽에 내몰렸기 때문에 내년 초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마련할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인다고 100만~200만원씩 주는 지원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