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초대장 있으면 북한 간다"지만…현실화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

남북미 경색에 외교 절차도 문제…종교적 권위자인 교황 부담스러워 할 수도

 

프란치스코 교황이 북한을 방문하겠다는 의사를 다시 한번 밝혔지만 여전히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현지시간으로 29일 교황청에서 진행된 문재인 대통령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면담에서 교황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문 대통령의 방북 요청에 대해 "기꺼이 가겠다"라는 의사를 표했다.

이는 지난 2018년 문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밝힌 방북 의사를 재확인한 것으로, 교황의 '강력한 의지'가 표현됐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많은 산을 넘어야 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북한의 의사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렇다. 

우선 교황청의 외교 의전 상 교황의 방북은 북한의 초대장이 있어야 가능하다. 교황 역시 문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이를 언급했다. 

그런데 북한은 교황청과 직접 교류를 하고 있지 않다. 바티칸에는 북한 대사가 주재하고 있지 않으며, 이탈리아에 있는 북한 대사관과 교황청과 '특별한' 교류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 체제의 특수성 때문에 전 세계적 영향력이 있는 종교인 천주교의 권위의 상징이자 강력한 국제적 지지를 받는 교황이 김정은 총비서와 마주하는 것에 부담을 느낄 것이라고 분석한다.

때문에 북한이 직접 교황청과의 밀접한 협의에 나서 방북을 추진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미국의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지는 등 이미 국제사회의 외교의 장으로 나선 김정은 총비서가 교황과의 만남 자체는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 같은 시각을 가진 쪽에서는 교황의 방북 문제는 북한 체제 자체의 문제보다는 정세 변화가 더 큰 변수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남북미가 아직 경색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재의 정세에서는 김 총비서가 직접 대면 외교에 나서기 어렵기 때문에 이른 시일 내 교황의 방북도 추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관측한다. 

교황의 방북 역시 우리 정부의 '중개'에 따라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도 나온다. 이미 문재인 대통령이 두 차례나 교황을 직접 만나 방북을 요청했고, 그때마다 교황도 호응해 나섰다. 

남북 소통이 원활하던 지난 2018년 문 대통령의 교황에 대한 첫 방북 요청 이후 우리 정부가 북한에 어떤 입장을 전달했고, 북한이 어떤 답을 해왔는지 확인이 되지 않았지만 어떤 식으로든 북한의 '초대장' 발신을 위한 소통이 이뤄졌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북한 역시 교황청과 갑작스레 직접 소통을 시작하기보다 우리 정부를 통하는 것이 '모양새'가 좋을 것이라는 판단을 할 여지는 있다. 김 총비서가 직접 교황을 초대하기보다는 자신과 교황이 모두 '중개자'를 통해 만남을 갖는 형식을 선호할 수도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북한 최고지도자의 대외 행보 제약도 교황의 방북이 빠르게 추진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일단 현재 진행 중인 한반도 종전선언 문제가 해결 국면에 접어들어야 교황의 방북 추진도 더 가시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도 한다.  

'초대장'으로 인해 교황의 방북 문제가 일단 북한으로 공이 넘어간 상태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지만, 교황의 의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오히려 종전선언 등의 추진 과정에서 교황이 '평화의 메신저'로서의 역할을 자처할 경우 남북미의 경색이 완연히 개선되지 않아도 오히려 지난 2018년의 평창올림픽 이상의 '평화 이벤트'로 교황이 방북이 추진될 수 있어서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