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코로나에 막힌 이산가족 상봉길…이번 설도 그리움만

지난해 공식 상봉 '0건'…"생사확인도 어려워"

통일부, '화상상봉' 추진…북한 응답 여부가 관건

 

11일 민족 최대 명절인 설이 다가왔지만 이산가족 상봉은 또다시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경색된 남북관계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가족을 만날 길이 꽉 막혀버린 가운데 이산가족들은 이번 명절에도 애끓는 그리움만 달래고 있다.

지난 2018년 남북관계가 화해 분위기로 들어서면서 이산가족들은 고향 방문과 상봉 행사에 대한 기대감에 들떠 있었다. 하지만 북미 비핵화 협상이 결렬되고 남북관계도 소강 상태에 빠지며 이산가족들의 바람은 실현되지 못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해 코로나19 사태가 악화되며 이산가족 상봉길은 더욱 막히게 된 모양새다. 남북관계와 별개로 간간이 이어지던 민간차원 상봉도 여의치 않은 현실이다.

통일부의 '이산가족 교류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공식 집계된 당국·민간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은 단 한 건도 없었다. 민간차원의 서신교환만이 4건 이뤄졌다.

지난 2019년 민간차원에서 1건의 상봉과 14건의 서신교환이 진행된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북한 국경이 폐쇄되고 북한 내 이동도 어려워진 데 따른 상황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이산가족 상봉이 "매우 제한적으로 됐다"라고 언급했다. 북한을 오가는 부분에서 환경적으로 제약이 생기다 보니 교류에 필수적인 '생사확인'도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시간은 이산가족의 편이 아니다. 지난해만 해도 3314명의 이산가족이 고향을 그리다 세상을 떠났다. 생존한 이산가족 중 70세 이상 고령자 비율도 84%에 달한다.

이제 남한에 남은 이산가족은 4만9452명으로 5만 명이 채 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 속 정부가 하루빨리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인영 통일부장관이 지난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설 맞이 이산가족 유관기관·단체 차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1.2.8/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이에 정부는 '화상상봉'을 이산가족 상봉 문제의 돌파구로 제시하고 나섰다. 코로나19 사태뿐 아니라 고령화로 인한 거동불편자가 늘어난 데 따른 해결책으로 비대면 상봉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설 명절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질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던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지난 8일 "남북이 마음만 먹으면 전국 13개 장소에서 이산가족 화상상봉을 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다"면서 화상상봉 추진 의사를 강조했다.

통일부는 지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화상을 통해 3748명의 이산가족 화상상봉을 진행한 바 있다. 최근 통일부는 각지 화상상봉장의 리모델링을 마쳤고, 향후 화상상봉이 진행된다면 하루 40가구가량이 비대면 상봉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관건은 북한의 응답 여부다. 북한은 지난 2019년 6월 개성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며 남한과의 공식 채널을 모두 끊어버린 상태다. 화상상봉을 통해 코로나19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해도 남북관계가 풀리지 않는다면 이산가족 교류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매년 설 이산가족의 그리움을 달래기 위해 파주 임진각에서 개최됐던 망향경모제 행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날(10일)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