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경제난 예상보다 심각한 듯…'코로나 방역' 국경봉쇄 장기화 탓

주북 러 대사 "원자재·부품 수입 끊겨…생필품도 사기 어렵다"

일각에선 '대규모 기아' 사태 우려…김정은, 연일 '경제' 강조

 

북한의 경제난이 예상보다 심각해 보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국경봉쇄가 장기화된 상황에서 수도 평양에서조차 생활필수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내부로부터의 '위기'감이 커져가는 분위기다.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주재 러시아대사는 지난 5일 보도된 인테르팍스통신과의 인터뷰에서"(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한) 북한의 자발적 고립이 경제와 주민들의 삶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원자재·부품 수입이 끊기면서 많은 기업들이 멈춰 섰고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었다"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그는 북한의 코로나19 관련 제한 조치가 "북한에서 거주하는 외국인들에게도 영향을 줬다"며 "수개월 간의 자가 격리 뒤 외국인들에겐 전용 시장 1곳과 300여개 소매점 이용이 허용됐으나, 파스타·밀가루·식용유·설탕 등 기본적인 제품조차 사기 어렵고 옷과 신발도 없다. 뭘 사려면 (코로나19) 위기 전보다 3~4배 많은 돈을 줘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북한 당국은 코로나19가 중국 전역을 넘어 각국으로 퍼지던 작년 1월 말 북중 간 국경을 통한 주민 왕래와 외국인 입국을 차단하고, 중국·러시아를 오가는 항공편 및 국제열차 운행도 전면 중단했다.

그러나 이 같은 국경봉쇄 조치 때문에 북한의 대외 교역량도 급감, 북한 경제에 큰 타격을 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실제 중국 해관총서(한국의 관세청에 해당) 자료를 보면 작년 한해 북중 간 교역액은 5억3905만9000달러(약 6021억원) 수준으로 전년 대비 80% 넘게 급감한 것으로 돼 있다.

 

북한은 이 같은 국경봉쇄 상황 속에서 수입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코크스를 사용하지 않는 제련설비를 개발하고, 매장량이 풍부한 갈탄을 액화해 연료로 사용하는 등의 방안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필요 부품 등의 수급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무역협회(KITA)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북한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남흥청년화학연합소 내 비료공장도 부품 부족 때문에 가동이 중단됐다고 한다.

이런 가운데 영국 런던대 동양·아프리카대학(SOAS)의 북한 전문가 헤이젤 스미스 교수는 안보 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NI) 기고에서 "북한의 농업은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농기구와 비료·살충제 등 석유 기반 제품에 달려 있다. 그러나 북한에선 석유가 나지 않기 때문에 수입이 안 되면 농업 생산량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북한이 다시 대규모 기아 사태를 맞을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북한에선 지난 1990년대 중후반 이른바 '고난의 행군' 시기에 국제적 고립과 자연재해 때문에 100만명 이상의 주민들이 굶주림에 목숨을 잃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가 지난달 당 대회 등 주요 행사에서 '경제'를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내부 사정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8일 주재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국가경제지도기관들은 소극·보신주의적 경향을 버려야 한다"몀 철강재와 화학비료 생산을 위한 투자 확대를 주문했다.

그러나 마체고라 대사는 "수년 간 (핵·미사일 개발에 따른) 국제적 제재를 받아왔던 북한 경제가 전염병(코로나19) 유행 이후 더 나빠졌다"며 "가까운 장래엔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