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안 쓰고 8년 모아야 수도권서 내집 산다

세대불문 주거지원 1순위 '주택대출'…"팍팍한 내집마련 반영"

[2020 주거실태]집값 상승에 생애최초주택 기간도 다시 늘어

돈 안 쓰고 8년 모아야 수도권에서 내집마련

 

지난해 수도권에서 주택을 사려면 8년 치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줄어들었던 생애최초 주택구입 소요연수도 다시 늘었다.


세대를 불문하고 주택구입자금을 주거지원 1순위로 꼽으며 부동산시장의 '집값과열' 기조를 고스란히 반영하기도 했다.

◇2006년 5.7년치 연소득 수도권집값, 지난해엔 '8년치' 줘야 

국토교통부는 13일 이 같은 내용의 '2020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토부는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지난해 7~12월 표본 5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해당 조사를 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는 2019년 5.4배에서 지난해 5.5배로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8배, 광역시 등은 6배다. 도지역은 3.9배로 모든 지역의 PRI는 전년 대비 상승했다.

전국 기준으로 내 집 마련을 위해선 연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5.5년이 걸린다는 의미다. 광역시 등은 6년, 도지역은 3.9년이 각각 필요하다.

이중 서울을 낀 수도권은 PIR는 8배에 달한다. 첫 통계를 낸 2006년 5.7배보다 2.3배 늘었다. 15년 만에 2.3년 더 벌어야 수도권 주택을 구할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수도권 PIR은 2018년 6.9배를 기록했다 2019년 6.8배로 소폭 줄었지만, 1년 만인 지난해 1.2배 더 뛰었다. 그만큼 수도권 주택시장이 달아올랐다는 지적이다.

생애 최초 주택 마련도 7.7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6.9년에 비해 0.8년이 늘었다. 생애 최초 주택 마련 소요연수는 2018년 7.1년에서 2019년 6.9년으로 감소했지만,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불안한 부동산시장에 연동해 임대료 부담도 올랐다. 지난해 전·월세 등 임차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RIR)도 전국 16.6%로 전년(16.1%)보다 증가했다.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청년·신혼부부·고령층 모두 주거정책자금 지원 1순위 꼽아  

지난해 전국 자가보유율도 60.6%로 전년(61.2%)보다 줄었다. 수도권의 자가보유율은 2019년 54.1%에서 2020년 53%로, 광역시는 같은 기간 62.8%에서 62.2%로 각각 줄었다. 도지역은 1년 새 71.2%에서 71.4%로 소폭 늘었다.

자가에 거주하는 비율인 자가점유율은 지난해 전국 기준으로 57.9%로, 2019년(58%)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수도권은 2019년 50%에서 2020년 49.8%로, 광역시는 같은 기간 60.4%에서 60.1%로 소폭 감소했다. 이는 당시 주택매입 후 세를 주거나 세를 안고 주택을 매입하는 갭투자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집값상승으로 내집마련이나 주거비용 부담이 늘어나면서 정책자금 지원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구 중 필요한 지원책으로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을 꼽은 가구는 34.6%에 달한다. 2위는 전세자금 대출지원(24.5%), 3위는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11.6%)이다. 주거지원 정책을 원하는 10가구 중 6가구는 사실상 주거비용 부담을 호소하고 있는 셈이다.

세대별로도 정책자금 요청은 뚜렷하다. 만 19세 이상~34세 이하인 청년가구는 가장 필요로 하는 주거지원으로 '전세자금 대출지원(39.1%)를 1순위로 꼽았다. 23.4%는 주택 구매자금 대출지원을, 16.3%는 월세보조금 지원을 가장 필요한 정책이라고 했다.

혼인한 지 7년 이하인 신혼부부가구도 거의 절반(48.6%)이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정책으로 '주택 구매자금 대출지원'을 택했다. 그 뒤를 '전세자금 대출지원'(28.2%)이 이었다.

가구주의 연령이 만 65세 이상인 고령가구도 마찬가지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정책으로 '주택 구매자금 대출지원(24.7%)'을 꼽았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PIR 등 주택시장 안정을 나타내는 지표가 1년 사이에 급격히 올라간 것은, 문제가 있다"며 "주택물량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지난해 주거비용과 집값부담이 고스란히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