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추정 해킹' 빈발…정부, 北언급 없이 "사이버위협 선제 대응"

원자력硏·KAI 등 피해 속출…전문가 "북한 소행"

정부 '北 눈치' 비판…일각선 '늑장대응' 지적도

 

최근 북한 소행으로 추정되는 사이버공격이 군사·안보분야 관련 기관에서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뒤늦게 사이버공격에 '선제대응'하겠다고 나서면서도 북한을 거론하지 않는 등 북한의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뒤따른다.

청와대는 16일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사이버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고 '한미 사이버 워킹그룹'을 출범해 글로벌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 실장은 "올해 국내외에서 랜섬웨어 공격이 지속 발생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정부의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불특정 세력에 의한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정부 기관이 대비체계를 점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대우조선해양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군사·안보분야 관련 국내 연구기관과 방산업체에 대한 외부 해킹 시도가 급증하자 청와대가 범정부 차원의 대응에 나서게 된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하태경 의원은 이들 기관·업체의 해킹 배후로 북한군 정찰총국 산하 해커조직 '김수키'를 지목한 바 있다. 보안업계 전문가들도 북한 소행에 무게를 두고 있다.

문종현 이스트시큐리티 이사는 "최근 외교·안보 관계자들이나 방산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 대한 북한 연계 해킹세력들의 사이버공격 시도가 빈번하게 포착되고 있다"면서 "(북한처럼) 국가 단위에서 실시하는 해킹 공격을 민간이 막아내긴 거의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

문 이사는 "북한이 이미 사이버전쟁을 개시한 상황 속 우리도 정부가 직접 나서 방어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서훈 국가안보실장이 16일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열린 국가사이버안보정책조정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2021.7.16/뉴스1


이번 회의에서 국정원은 현재 민·관·군으로 분리된 사이버 경보발령 체계를 일원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정부 차원의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를 마련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방위사업청은 첨단 방산기술 유출 위협 요인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방산기술보호법 개정과 방신기술 보호 전문기관 설립, 미국의 방산 사이버 보안 인증제도 도입 등을 통해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보고했다.

다만 정부는 여전히 해킹 배후 세력을 지목하는데 주저하는 모습이다. 최근 해킹 사례와 관련, 방사청 등 군 관계자들은 '해킹 배후 세력이 누구냐'는 질문에 "수사 중인 사안"이라고만 답했었다.

이번에 열린 회의에서도 정부는 해킹 배후를 '불특정 세력'이라고만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해킹 배후 세력을 북한으로 인지하고 있지만, 남북관계를 고려해 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늑장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 2월엔 제약회사들에 대한 사이버공격이 포착됐고, 지난 3월 한미연합훈련을 전후해 국내 외교·안보·통일정책 전문가들에 대한 해킹이 기승을 부렸음에도 이제야 대응에 나섰다는 지적이다. 

한편 북한은 대외선전매체 등을 통해 남한에서 벌어진 해킹 사건의 '주범'이 북한이라는 주장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